[디지털데일리 강소현기자] 지난 10월 번호이동 시장이 회복세를 보였다. 애플의 신규 플래그십 단말 출시 영향이다. 이동통신3사로 이동했던 주도권 역시 다시 알뜰폰으로 넘어갔다. 이통3사가 이번 신규 단말에 대해 전환지원금을 책정하지 않은 데 따른 영향으로 풀이된다. 그럼에도 불구 이통3사에서 알뜰폰으로 이동한 가입자는 전환지원금 도입 이전 수준으로 회복하지 못했다.
4일 한국통신사업자연합회(KTOA)가 발표한 ‘이동전화 번호이동자 수 현황’에 따르면, 지난 10월 번호이동 건수는 50만4475건으로, 전월보다 2,1% 증가했다. 지난 9월 아이폰16시리즈가 출시된 데 따른 영향이다.
지난달 알뜰폰은 이통3사로부터 2만3923명의 가입자를 뺏어왔다. 직전달(2만928명)과 비교하면 소폭 늘었지만, 아이픈16시리즈 출시를 감안하면 크게 늘진 않았다. 특히 전환지원금이 도입되기 직전인 지난 2월 4만5371명의 가입자가 이통3사에서 알뜰폰으로 이동했던 것을 감안하면 절반 이상 감소한 수치다.
더욱이 이통3사의 경우 아이폰16 시리즈에 대해 전환지원금을 따로 책정하지 않았다. 전환지원금은 통신사와 단말기를 바꾼 가입자에 제공되며, 단통법 폐지 이전이라도 이통사업자 간 마케팅 경쟁을 활성화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겠다는 취지에서 지난 3월 도입됐다.
이에 번호이동 시장에서 알뜰폰과 이통3사 간 구도에도 변화가 생겼다. 자급제폰과 저렴한 알뜰폰 요금제 결합으로 승승장구하던 알뜰폰의 순증규모는 4만건에서 1~2만건으로 떨어진 반면, 알뜰폰에 가입자를 뺏겨왔던 이통3사의 순감규모는 1~2만명에서 1만명 미만으로 축소됐다.
실제 지난 한 달 SK텔레콤의 경우 1만2350명의 가입자를, KT와 LG유플러스는 각각 9966명, 1607명의 가입자를 뺏겼다. 기존 순감규모가 1~2만명 수준이었던 것을 감안하면 소폭 축소된 규모다.
한편 알뜰폰협회는 정부의 전환지원금 정책과 관련, “이동통신사업자(MNO) 간 번호이동 경쟁이 촉진될 수도 있지만, MNO의 과도한 번호이동 지원금으로 알뜰폰 이용자의 이탈이 가속화돼 그나마 활성화를 기도했던 알뜰폰 사업자는 날벼락을 맞은상황”이라며 우려한 바 있다.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단독] 유료방송 위기여파 PP로…“콘텐츠 사용료 약 1200억원 감소 전망”
2025-04-03 17:44:35[DD퇴근길] 5대 AI에게 물었다…"尹 탄핵심판 결과, 어떨 것 같니?"
2025-04-03 17:13:51[인터뷰] 이해민 의원, "美 통상마찰 없이 '망 무임승차' 해결하려면"
2025-04-03 15:59:44KT알파 쇼핑, 국내 로봇청소기 시장 점유율 1위 ‘로보락’ 최신상 판매
2025-04-03 13:35:10[현장] ‘탈TV·탈모바일’ CJ온스타일, 성수서 독보적 행보…“발견형 쇼핑의 정점”
2025-04-03 12:00:00[네카오는 지금]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임박, 트래픽 폭증 대응책은?
2025-04-03 18:11:06[DD퇴근길] 5대 AI에게 물었다…"尹 탄핵심판 결과, 어떨 것 같니?"
2025-04-03 17:13:51응급실 온 전통킥보드 사고 환자, 4명 중 3명은 헬멧 안 썼다
2025-04-03 17:13:33넥써쓰, 통합 앱 ‘크로쓰x’ 출시… 크로쓰 생태계 본격 가동
2025-04-03 17:05:28넷마블 ‘RF 온라인 넥스트’, 장기 흥행 청신호… MMO 서비스 노하우 빛났다
2025-04-03 16:35:54[빅테크 24시] 美, 틱톡 인수 아닌 '알고리즘 임대' 검토…결정 연기되나?
2025-04-03 16:1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