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데일리 이종현기자] 개인의 신상과 금융·의료정보를 보유한 건강보험 서버에 대한 해킹시도가 급증하는 중이다. 공격에 사용된 IP주소는 대부분이 해외 IP인 것으로 확인됐다.
19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김미애 의원은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자체 보안관제를 시작한 2019년 이후 공단 서버를 상대로 시도된 사이버 공격은 빠르게 늘고 있다.
최근 5년 동안 공단이 탐지한 사이버 공격 시도 건수는 2019년 1781건, 2020년 3684건, 2021년 3489건, 2022년 8429건이다. 올해는 8448건으로, 해가 갈수록 건수가 늘어나고 있다. 총 2만5831건의 공격 중 98.3%는 해외에서 이뤄졌다.
국가별로는 중국발 해킹이 가장 많았고 미국, 네덜란드, 독일이 뒤를 이었다. 북한 IP 주소는 공단 통신장비에서 원천 차단되기 때문에 집계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전체의 64.3%는 공단 정규 근무시간 외에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공단에 따르면 탐지된 시도는 모두 차단됐기 때문에 현재까지 보안이 뚫린 사례는 없었다.
김미애 의원은 “공단은 진료기록 등 민감한 개인정보를 보유하고 있어 해킹으로 인한 정보 유출이 발생한다면 큰 사회적 혼란이 생길 것”이라며 “인력과 예산 지원을 아끼지 말고 갈수록 고도화되는 사이버공격에 대비해 철저한 대응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말했다.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안 넘어 국방의 문제” 의지 밝힌 최태원…'위약금 면제'엔 말 아껴 (종합)
2025-05-07 13:28:42최태원, SKT 해킹사고 직접 대응나서…“정보보호위원회 구성할 것”
2025-05-07 11:14:59최태원 회장, 과방위 청문회 불출석 사유서 제출…최민희 "불허한다" 거부
2025-05-06 22:32:13[PLAY IT] 운동할 때 이어폰이 불편하게 느껴진다면
2025-05-06 18:07:17CJ ENM 피프스시즌, 프리미엄 콘텐츠 라인업 본격 확대
2025-05-06 14:32:36LGU+, 에릭슨과 손잡고 AI 접목 차세대 기지국 구축
2025-05-06 14:32:23위메이드 박관호, "국내 거래소 불합리한 결정에 끝까지 대응"
2025-05-07 11:30:12"웹툰도 AI·숏폼으로 만난다"…네이버웹툰, 글로벌 앱 전면 개편
2025-05-07 11:25:54"BTS 진 컴백온다"…틱톡, 앨범 'Echo' 발매 기념 글로벌 이벤트 잔행
2025-05-07 11:17:21"청주 이어 대구까지"… 빔모빌리티, AI 주차 평가 시스템 도입
2025-05-07 10:52:41카카오게임즈, 1분기 124억 영업손실…"체질개선 지속"
2025-05-07 09:24:49[컨콜 종합] “대만에서도 코카콜라 로켓배송”…쿠팡, 글로벌 확장에 속도
2025-05-07 07:51: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