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데일리 양원모 기자] "예약자 입장 시 민소매, 슬리퍼 등은 착용할 수 없다"는 오마카세 전문점의 복장 규정를 두고 온라인에서 갑론을박이 오가고 있다. "가게 사장의 자유"와 "허세"라는 의견이 맞붙고 있다.
16일 온라인 커뮤니티 개드립 등에는 '오마카세 민소매, 슬리퍼 입장 불가'라는 제목의 글이 올라왔다. 글쓴이는 "오마카세 살면서 한 번도 안 가봤는데, 원래 이러느냐"며 얼마 전 광주 명소를 소개하는 페이스북 페이지에 올라온 한식 오마카세 전문점 소개 글을 공유했다.
100% 예약제로 운영되는 이 매장은 한 가지 규칙을 두고 있었다. 바로 "예약자 입장 시 민소매, 슬리퍼 등의 의상은 착용할 수 없다"는 것. 일종의 '드레스 코드'가 존재하는 것이다.
네티즌들 반응은 크게 엇갈렸다. 한 개드립 이용자는 이른바 'TPO(Time·Place·Occasion, 시간·장소·상황)'를 언급하며 파인 다이닝(고급) 레스토랑에 갈 때는 의상에도 최소한의 예의를 갖춰야 한다고 지적했다. 해당 오마카세 전문점은 1인당 가격이 12만 8000원인 고급 한식집으로 알려졌다.
반면 불만의 목소리도 있었다. 한 개드립 이용자는 "오마카세만큼 현재 한국 현실을 잘 나타내는 게 없는 듯하다. 허례허식에 찌들어 있다"며 복장 규제와 오마카세 문화를 싸잡아 비판했다.
또 다른 이용자도 "진짜 실력 있는 하이엔드급 오마카세 전문점은 복장 규제 없는 경우가 대다수"라며 에둘러 꼬집었다.
오마카세는 '맡긴다(お任せ)'는 뜻의 일본어로, 메뉴판 없이 그날그날 메뉴가 바뀌는 음식점을 말한다. 일본 초밥 전문점 등에서 '셰프의 추천 메뉴'라는 뜻으로 쓰다가 다른 외식 분야에서도 활용하게 됐다. 우리나라에서는 고급 식재료를 활용한 하이엔드(고급) 오마카세 전문점들이 입소문을 타면서 '오마카세=고급 음식점'이라는 인식이 강한 편이다.
한편 2021년 부산에서도 한 오마카세 전문점이 슬리퍼를 신은 손님의 출입을 막아 논란이 됐다.
당시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해 이 사연을 전한 네티즌은 "식당 측이 입장을 거부했음에도 20만원에 달하는 예약금도 돌려주지 않았다"고 주장했고, 식당 측은 "예약 시 복장 규정을 안내하고 있으며, (환불 대신) 10만원 상당의 기프트카드를 주려고 했지만 네티즌이 거부했다"고 해명했다.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SKT “해킹피해 발생시 100%책임…유심보호서비스 믿어달라”
2025-04-27 19:30:40'유심보호서비스' 관련 피싱·스미싱 공격 등장…정부, 2차피해 주의 권고
2025-04-27 17:35:21주말동안 ‘쑥’ 빠진 SKT 가입자…경쟁사 마케팅에 ‘진땀’
2025-04-27 16:56:59SKT 해킹사고에…한덕수 대행 "조치 적절성 점검해달라" 긴급지시
2025-04-27 15:28:35[랜선인싸] 보석 감정으로 숏폼 평정…서울 필수 코스된 '링링언니'
2025-04-27 15:28:17[툰설툰설] 각자의 공간, 피어나는 사랑…'이섭의 연애' vs '청춘 러브썸'
2025-04-27 13:37:41크림 리퍼비시 서비스, 올 1분기 거래량 63%↑…중고 테크 소비 ‘쑤욱’
2025-04-27 12:32:58주목받는 추억의 IP, 넷마블 ‘세븐나이츠 리버스’도 통할까
2025-04-27 11:09:18구글 모회사 알파벳, 1분기 '깜짝 실적'…광고 부문 성장 견인
2025-04-25 17:09:06경주 개관 미디어아트 전시관, '덱스터' 자회사가 만든다
2025-04-25 16:39: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