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데일리 강소현 기자] OTT(온라인동영상서비스) 넷플릭스의 광고형 요금제가 신규 가입자 확보에 이바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최근 블룸버그는 넷플릭스 내부 자료를 이용해 광고형 요금제의 월간활성이용자수(MAU)가100만명을 돌파했다고 보도했는데요. 광고형 요금제가 출시된 지 두 달 만입니다.
매체에 따르면 광고형 요금제의 가입자 수는 출시 첫 달에 500%, 두 번째 달에 50% 늘었습니다. 특히 가입자 대부분이 과거 해지했거나 신규 이용자인 것으로 알려졌는데요. 즉, 고가 요금제에서 광고형 요금제로 이동한 것이 아니라는 말이죠.
넷플릭스는 지난해 11월 ‘광고형 베이직(Basicwithads)’ 요금제를 출시했습니다. 넷플릭스의 광고형 요금제는 콘텐츠에서 광고를 제공하는 대신 구독료를 낮춘 것이 특징입니다. 월 구독료는 5500원으로, 넷플릭스가 지금까지 제공해왔던 가장 저렴한 요금제(베이직)의 절반 수준입니다.
넷플릭스는 광고형 요금제가 성장 한계를 극복할 타개책이라 봤는데요. 2022년 1분기 전 세계 가입자 수가 직전 분기 대비 20만명 줄어든데 이어 2분기에도 97만명의 가입자가 이탈하는 등 지속적인 가입자 하락세 속에 내린 결정인 셈입니다.
리드 헤이스팅스 넷플릭스 창업자 겸 공동 CEO는 지난해 뉴욕타임스가 주최한 ‘딜북 서밋’에서 “제이슨 킬라(전 훌루 CEO)는 프리미엄 광고로 성공을 거두면서 소비자에 더 낮은 가격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됐고, 이것이 더 나은 모델임을 증명했다”며 “그동안 (넷플릭스가) 광고형 요금제 채택을 꺼리고 몇 년 전에 뛰어들지 않은 것은 실수였다”고 말하기도 했습니다.
결과적으로 넷플릭스의 광고형 요금제는 가입자 증가로 이어졌는데요. 매체는 "넷플릭스가 최근 일부 국가에서 계정공유를 금지한 가운데 돈을 내지 않고 계정을 공유해 사용하던 이용자들이 가격이 저렴한 광고형 요금제에 가입한 것으로 분석된다"고 평가했습니다.
국내 OTT도 광고형 요금제에 대한 소비자들의 반응은 부정적인 가운데, 당장의 도입 대신 시장 반응을 지켜보고 있는 상황입니다. 광고형 요금제를 통해 유입된 가입자가 이후 고가요금제로 이동할 가능성도 높다는 당초의 낙관적 전망과 달리, 최근 한 소비자리서치 전문 연구기관이 진행한 설문조사에선 요금제에 가입할 의사 자체가 없다는 의견이 주를 이뤘습니다.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WC25] SKT, 'K-AI 얼라이언스' 7개사 글로벌 진출 지원
2025-02-24 10:17:42"스터디그룹·선의의 경쟁 봤지?"…와이랩, 이제는 '넷플릭스'다
2025-02-23 16:48:11통신3사, MWC25서 'AI 각축전' 예고…유상임 장관 깜짝 회동할까
2025-02-23 14:57:14[OTT레이더] 인생을 건 머니게임이 시작됐다, 웨이브 ‘보물섬’
2025-02-23 12:04:50[인터뷰]“밤 9시까지 AI 열정!”...’KT에이블스쿨 전형’이 신설된 이유는?
2025-02-23 09:00:00연간 통신분쟁 전년 대비 22% 급증…”이용계약 관련 분쟁이 절반”
2025-02-21 17:39:30"KTX 타면서 렌터카까지"…쏘카, 장거리 이동 트렌드 제시
2025-02-24 10:26:32데브시스터즈 ‘쿠키런: 브레이버스’, 7월11일 미국 출시
2025-02-24 10:19:17넥슨 ‘FC 온라인’, 이스포츠 대회 개편안 발표… 구단 프랜차이즈 도입
2025-02-24 09:29:13"스터디그룹·선의의 경쟁 봤지?"…와이랩, 이제는 '넷플릭스'다
2025-02-23 16:48:11신작 시험대, ‘스팀 넥스트 페스트’ 개막… K-게임도 출전 준비 완료
2025-02-23 12:03:00[툰설툰설] 신분차이 로맨스…재벌과의 인터뷰 vs 품격을 배반한다
2025-02-23 11:4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