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데일리 강소현 기자] OTT(온라인동영상서비스) 넷플릭스의 광고형 요금제가 신규 가입자 확보에 이바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최근 블룸버그는 넷플릭스 내부 자료를 이용해 광고형 요금제의 월간활성이용자수(MAU)가100만명을 돌파했다고 보도했는데요. 광고형 요금제가 출시된 지 두 달 만입니다.
매체에 따르면 광고형 요금제의 가입자 수는 출시 첫 달에 500%, 두 번째 달에 50% 늘었습니다. 특히 가입자 대부분이 과거 해지했거나 신규 이용자인 것으로 알려졌는데요. 즉, 고가 요금제에서 광고형 요금제로 이동한 것이 아니라는 말이죠.
넷플릭스는 지난해 11월 ‘광고형 베이직(Basicwithads)’ 요금제를 출시했습니다. 넷플릭스의 광고형 요금제는 콘텐츠에서 광고를 제공하는 대신 구독료를 낮춘 것이 특징입니다. 월 구독료는 5500원으로, 넷플릭스가 지금까지 제공해왔던 가장 저렴한 요금제(베이직)의 절반 수준입니다.
넷플릭스는 광고형 요금제가 성장 한계를 극복할 타개책이라 봤는데요. 2022년 1분기 전 세계 가입자 수가 직전 분기 대비 20만명 줄어든데 이어 2분기에도 97만명의 가입자가 이탈하는 등 지속적인 가입자 하락세 속에 내린 결정인 셈입니다.
리드 헤이스팅스 넷플릭스 창업자 겸 공동 CEO는 지난해 뉴욕타임스가 주최한 ‘딜북 서밋’에서 “제이슨 킬라(전 훌루 CEO)는 프리미엄 광고로 성공을 거두면서 소비자에 더 낮은 가격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됐고, 이것이 더 나은 모델임을 증명했다”며 “그동안 (넷플릭스가) 광고형 요금제 채택을 꺼리고 몇 년 전에 뛰어들지 않은 것은 실수였다”고 말하기도 했습니다.
결과적으로 넷플릭스의 광고형 요금제는 가입자 증가로 이어졌는데요. 매체는 "넷플릭스가 최근 일부 국가에서 계정공유를 금지한 가운데 돈을 내지 않고 계정을 공유해 사용하던 이용자들이 가격이 저렴한 광고형 요금제에 가입한 것으로 분석된다"고 평가했습니다.
국내 OTT도 광고형 요금제에 대한 소비자들의 반응은 부정적인 가운데, 당장의 도입 대신 시장 반응을 지켜보고 있는 상황입니다. 광고형 요금제를 통해 유입된 가입자가 이후 고가요금제로 이동할 가능성도 높다는 당초의 낙관적 전망과 달리, 최근 한 소비자리서치 전문 연구기관이 진행한 설문조사에선 요금제에 가입할 의사 자체가 없다는 의견이 주를 이뤘습니다.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딜라이트닷넷] 통신3사, ‘AI 브랜드’ 강화 나섰다…AI 전문기업 전환 속도
2025-04-11 17:31:18'ICT 협력채널' 한일중 ICT 장관회의 개최…7년만에 재개
2025-04-11 17:13:15[전문가기고] “지역경제 숨통, 케이블TV 지역광고 규제완화가 마중물”
2025-04-11 14:32:28"너흰 못 보는데 왜"…中 휩쓴 '폭싹 속았수다' 김선호 챌린지
2025-04-11 13:49:19CJ온스타일, 컴온스타일 기간 뷰티∙식품 거래액 ‘쑤욱’
2025-04-11 10:59:32카카오 김범수, 재판 불출석…"수술 회복중, 당분간 참석 어려워"
2025-04-11 18:13:14[DD퇴근길] 점유율 높인 '쿠팡이츠서비스', 영업이익률이 1.1% 라고?
2025-04-11 17:14:55"장애인 여행객도 자유롭게"…놀유니버스, 무장애 여행 캠페인 진행
2025-04-11 17:13:39하이브·경기북부청 공조…아티스트 딥페이크 범죄 피의자 검거
2025-04-11 17:12:56카카오, OECD 회의서 '상권 살리기' 성과 발표…"단골 1만명 확보"
2025-04-11 16:19:48[빅테크 24시] 인스타그램 "Z세대 놓칠라"…틱톡따라 검색 개편
2025-04-11 16:16: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