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3년 2월 ‘도쿄선언’이 40주년을 맞았다. 이병철 창업회장이 반도체 사업을 하겠다고 발표한 해다. 그로부터 10년 뒤 삼성은 메모리 세계 1위에 올랐고 30년이 지금까지 선두를 유지하고 있다. 이제 삼성은 메모리보다 시장 규모가 2배 이상 큰 시스템반도체 공략에 나선다.
삼성은 파운드리 분야에서 확실한 2위로 거듭나는 데 성공했으나 1위 TSMC와의 격차는 줄어들지 않고 있다. 사업 구조에 따른 태생적 한계, 부족한 정부 지원 등이 발목을 잡는다는 평가다. 본지는 4회에 걸쳐 삼성 파운드리의 명암을 짚어보고, 미래 경쟁력을 위한 제언을 담아보고자 한다.<편집자주>
[디지털데일리 김도현 기자] #. 2019년 4월 문재인 전 대통령은 삼성전자 평택캠퍼스를 찾아 “2030년까지 파운드리 분야 세계 1위, 팹리스 분야 시장점유율 10%를 달성해 종합반도체 강국으로 도약하는 것이 목표다. 정부도 적극적으로 돕겠다”고 밝혔다.
#. 2022년 5월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방한하자마자 삼성전자 평택캠퍼스로 향했다. 윤석열 대통령,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등과 함께 파운드리 공장을 둘러봤다. 양국 정상은 반도체를 한미 동맹의 핵심으로 꼽았다. 당시 윤 대통령은 “반도체 산업에 과감한 인센티브와 필요한 지원을 아끼지 않을 계획”이라고 약속했다.
삼성전자의 경우 미국 텍사스주 테일러시에 2번째 파운드리 공장을 구축 중이다. 지난달 삼성전자 디바이스솔루션(DS)부문 경계현 사장은 현장을 찾아 “테일러 공사는 잘 진행되고 있다. 테일러시를 관할하는 윌리엄슨 카운티에서 부지 앞 도로를 ‘삼성 하이웨이(Samsung Highway)’ 명명했다”고 전했다. 지방 정부의 전향적인 협조가 느껴지는 대목이다.
반면 한국에서는 마이웨이를 가야 할 판이다. 용인반도체클러스터 등 국내 투자 일정은 수차례 밀리면서 해외 투자 대비 속도가 더디다. 지난해 8월 마련된 반도체 특별법(K칩스법)은 여전히 국회 문턱을 넘어서지 못하고 있다.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유료방송-FAST 新 협력모델 제안…“통합 에코시스템 구축 필요”
2025-04-19 17:37:27[AI시대, ICT 정책은②] 네트워크 준비지수 5위인데…우리 정부는 준비됐나
2025-04-19 08:00:00[DD퇴근길] 이마트 옆 다이소 옆 이케아…서울 '강동' 격전지로
2025-04-18 17:48:11넷플릭스 1분기 27%↑ 영업익 4조원…韓 ‘폭싹속았수다’ 흥행 언급도
2025-04-18 16:24:08[AI시대, ICT 정책은①] ‘정부주도→민간주도’…“인프라 위한 해외자본 유치 필수” 의견도
2025-04-18 15:28:56네이버, 좌표찍기 알림 공지 시스템 도입…최수연 "이달 내 적용"
2025-04-18 19:04:20구글, 美 ‘반독점’ 재판서 유죄 판결… '사실상 해체' 위기 직면
2025-04-18 18:04:23[DD퇴근길] 이마트 옆 다이소 옆 이케아…서울 '강동' 격전지로
2025-04-18 17:48:11“무료 체험 뒤 몰래 결제?”…다크패턴, 근절 방안 마련한다
2025-04-18 16:23:01위믹스, 1차 바이백 중간경과 보고… 해킹 탈취 물량 바이백 완료
2025-04-18 14:27: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