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제품 성능 및 공급망 살펴보니…갤럭시S20 이후 변화 폭 최대·물량 3200만 전후
[디지털데일리 김도현 기자] 삼성전자의 새로운 플래그십 모델 ‘갤럭시S23’ 출시가 한 달 앞으로 다가왔다. 괴물폰이라 불린 ‘갤럭시S20’ 이후 가장 큰 성능 향상이 기대되는 제품이다. 전작에서 게이밍 옵티마이징 서비스(GOS) 논란을 겪은 만큼 명예 회복에 나서겠다는 의지가 드러난 부분이다. 다만 공급망 이슈, 고가 부품 사용 등으로 높아진 가격이 걸림돌이다.
16일 삼성전자에 따르면 오는 2월1일(현지시각)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삼성 갤럭시 언팩 2023’를 개최한다. 이 자리에서 신형 스마트폰 갤럭시S23 시리즈, 최신 노트북 ‘갤럭시북3’ 시리즈 등이 공개된다.
메인은 갤럭시S23이다. 삼성전자로서는 프리미엄 시장에서 애플과의 격차가 점점 더 벌어지는 상황에서 내놓는 중요한 제품이다. 업계에서는 다음 달 15일 전후에 정식 출시될 것으로 보고 있다.
◆세계최초 개발한 2억화소 이미지센서 장착
갤럭시S23 시리즈는 ▲일반 ▲플러스 ▲울트라 등 3종으로 구성된다. 플래그십 위주 전략을 펼치기로 한 삼성전자는 생산 물량 절반을 울트라로 채울 계획이다. 나머지는 일반 30%, 플러스 20% 내외로 추정된다. 전체 생산량은 3200만대 수준으로 관측된다.
이중 울트라 후면 카메라에 2억화소 이미지센서가 탑재된다. 갤럭시S20울트라 이후 최상급 모델에는 1억800화소가 최대였으나 3년 만에 약 2배 높아지게 됐다. 일반과 플러스의 후면 카메라는 5000만화소다. 3종의 전면 카메라는 1000만, 1200만, 1200만화소다.
울트라 비중 증가는 카메라 모듈 공급망 업체의 수주 물량에 영향을 미쳤다. 참고로 삼성전자는 부품 협력사를 선도업체와 이원화 업체로 나눈다. 전자는 60~70%, 후자는 30~40%를 맡는다. 초도 물량 이후 생산되는 제품에 대해서는 새로운 이원화 업체를 추가하기도 한다.
울트라 후면 카메라에서는 삼성전기와 엠씨넥스, 써니옵티컬(중국) 등이 메인이다. 일부는 삼성전자가 자체 생산한다. 이원화 업체로는 파트론, 나무가 등이 선정된 것으로 전해진다.
플러스 후면 카메라는 삼성전기·파워로직스 등이 선도, 파트론·캠시스 등이 이원화로 파악된다. 일반 후면 카메라는 선도와 이원화가 각각 파트론·캠시스·파워로직스, 삼성전기 등이 대상이다. 갤럭시S23 시리즈 전면 카메라는 나무가, 캠시스, 파워로직스 등이 분담 생산한다.
이번 시리즈에서는 카메라 외관을 통일한다. 전작에서는 일반과 플러스의 후면 카메라 섬 부분은 컨투어컷을 적용한 바 있다. 갤럭시S23 후면 카메라는 전 모델이 물방울 형태를 갖춘다.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인터뷰]“밤 9시까지 AI 열정!”...’KT에이블스쿨 전형’이 신설된 이유는?
2025-02-23 09:00:00연간 통신분쟁 전년 대비 22% 급증…”이용계약 관련 분쟁이 절반”
2025-02-21 17:39:30[DD퇴근길] 계속되는 '망 사용료 갈등'…MWC, 논의의 장으로
2025-02-21 17:28:22[IT클로즈업] ‘망 사용료 논쟁’ MWC서 재점화될까…“주요국 입장 예의주시해야”
2025-02-21 11:30:17[DD퇴근길] 제로트러스트 실제 적용사례·정부정책 한눈에
2025-02-20 17:15:10[툰설툰설] 신분차이 로맨스…재벌과의 인터뷰 vs 품격을 배반한다
2025-02-23 11:42:17SM·카카오엔터 합작 英 보이그룹 '디어앨리스' 공식 데뷔
2025-02-21 17:28:39[DD퇴근길] 계속되는 '망 사용료 갈등'…MWC, 논의의 장으로
2025-02-21 17:28:2229CM, 상반기 ‘이구홈위크’ 전년비 거래액 2배 돌파…“주방용품·홈 패브릭 상품 추천 적중”
2025-02-21 16:24:36위메이드 ‘레전드오브이미르’, 구글 플레이 인기 1위 달성
2025-02-21 16:16:01데브시스터즈 ‘쿠키런: 모험의탑’, 일본 현지 CBT 시작
2025-02-21 14:55: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