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가전

[종합] "연매출 300조원인데"…삼성전자, 반도체 한파에 '역대급 어닝쇼크'

- 2022년 4분기 영업이익 전년비 3분의 1토막
- 경기침체 직격탄…메모리·스마트폰·가전 동반 부진


[디지털데일리 김도현 기자] 삼성전자가 예상보다 더 암울한 성적표를 받아들었다. 세계적인 경기침체 여파를 피하지 못한 결과다. 반도체, 전자제품 등을 선도하는 업체의 부진은 업계 전반에 먹구름이 드리울 것으로 보인다.

6일 삼성전자는 2022년 4분기 잠정 매출액과 영업이익을 각각 70조원, 4조3000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매출액은 전기대비 8.83% 줄고 전년동기대비 76.57% 늘었다. 영업이익은 전기대비 60.37% 전년동기대비 69.00% 하락했다.

앞서 증권가 전망치 평균(컨센서스)은 매출 72조7500억원, 영업이익 6조9300억원 수준이었다.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기대 이하다. 말 그대로 역대급 '충격 실적(어닝쇼크)'다.

지난해 연간으로는 매출 301조7700억원, 영업이익 43조7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사상 처음으로 연매출 300조원을 돌파(전년비 7.93% 상승)했으나 영업이익이 전년대비 16% 줄어들면서 마냥 웃을 수 없는 상황이다. 연간 실적 역시 컨센서스(304조7500억원·46조원)를 밑돌았다.

삼성전자는 2009년 2분기 실적부터 투자자 편의를 위해 잠정 수치를 공개하고 있다. 다만 이번에는 이례적으로 설명자료를 냈다. 삼성전자는 “작년 4분기 잠정실적이 기대를 크게 하회하는 상황에서 확정실적 발표일까지 시장과 투자자들의 혼선을 완화하고 실적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함”이라고 언급했다.

이번 부진의 가장 큰 요인은 반도체다. 글로벌 불황 장기화로 대외환경 불확실성이 어느 때보다 커지면서 주력인 메모리 수요가 급감했다. 이는 예견된 결과다. 앞서 2022년 9~11월 실적을 공개한 미국 마이크론은 7년 만의 적자 전환한데다 지난해 10월 큰 폭으로 떨어진 D램 및 낸드플래시 가격이 회복하지 못하고 있는 탓이다.

삼성전자는 “메모리 사업은 글로벌 고금리 상황 지속 및 경기침체 전망에 따른 소비심리 위축 우려로 고객사들이 긴축재정 기조를 강화했다”면서 “전반적인 재고조정 영향으로 4분기 구매 수요가 예상 대비 대폭 감소했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재고 수준은 꾸준히 늘어날 전망이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지난해 3분기 말 기준 재고자산이 2021년 말 대비 60% 증대했다. 마이크론은 최근 실적발표에서 작년 12월 초 기준 재고자산이 83억5900만달러(10조7300억원)로 전년동기(48억2700만달러)대비 73.2% 늘었다고 밝혔다. 결과적으로 가격 반등은 당분간 어려울 가능성이 커졌다.

삼성전자는 “공급사들의 재고 증가에 따른 재고소진 압박 심화로 가격이 분기 중 지속 하락해 단가 하락 폭도 당초 예상 대비 확대되며 실적이 큰 폭으로 떨어졌다”고 분석했다.

이러한 분위기는 시스템반도체에도 긍정적이지 않다. 메모리 대비 안정적인 흐름을 유지하고 있으나 정보기술(IT) 업계 전반에 닥친 불황 기조는 주문 및 출하량 축소로 이어진다. 모바일 비중이 높은 시스템LSI사업부는 물론 실적 신기록 행진을 이어가던 파운드리사업부도 안심할 수 없다는 뜻이다. 파운드리 1위 TSMC마저도 곧 발표될 작년 12월 매출이 전월 및 전년동월 대비 급감할 것으로 추정된다.

문제는 반도체뿐만이 아니다. 앞서 이야기 한 대로 IT 산업이 얼어붙으면서 스마트폰 등 판매 부진이 불가피하다.

삼성전자는 “모바일익스피리언스(MX)사업부도 매크로 이슈 지속에 따른 수요 약세로 스마트폰 판매 및 매출이 감소하면서 이익이 줄었다”고 전했다. 증권가에서는 2022년 MX사업부의 영업이익을 1조원 후반대로 보고 있다. 전기(3조2400억원)대비 반토막 수준이다.

소비자가전(CE)사업부도 상황은 크게 다르지 않다. 수요 부진과 원가 부담이 겹치면서 수익성이 급감할 것으로 예상된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2000억원 중반대로 추산된다.

상대적으로 삼성디스플레이는 선방한 것으로 예상된다. 업계에서는 작년 4분기 영업이익이 1조7700억원 내외로 전년동기대비 34% 오를 것으로 내다봤다. 주요 고객사인 애플의 아이폰 생산 차질로 전기(1조9800억원)대비 수익이 줄긴 했으나 다른 사업부와 비교하면 나쁘지 않은 수준이다. 지난해 6월 기점으로 적자 늪에서 벗어나지 못하던 액정표시장치(LCD) 사업을 철수하고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에 집중할 것이 호조로 작용했다. 다만 스마트폰과 TV 등이 살아나지 않으면 패널을 담당하는 삼성디스플레이도 앞으로 어려워진다.

2023년 들어서는 경영환경은 녹록지 않을 것으로 관측된다. 반도체 사업이 최소 상반기까지는 반전의 계기를 마련하기는 쉽지 않을 전망인데다 완제품 수요도 당분간 살아나기 힘들 예정이기 때문이다.

증권가에서는 삼성전자 2023년 연간 컨센서스를 매출 301조1200억원, 영업이익 32조1500억원 정도로 보고 있다. 매출은 선방했으나 영업이익이 10조원 이상 빠진 수치다. 실제 숫자는 더 낮을 수 있다는 의견도 나온다.

도현우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삼성전자 이익 감소 추세는 2분기까지는 이어질 것”이라며 “반도체 부문의 경우 2분기 적자 전환이 예상된다”고 이야기했다.

한편 삼성전자는 오는 31일 기업설명회(IR)를 개최한다. 2022년 4분기 경영실적 및 질의응답을 갖는다. 삼성전자는 투자자 질문에도 답할 예정이다. 자세한 내용은 삼성전자 IR홈페이지에서 안내한다.

디지털데일리 네이버 메인추가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