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데일리 백지영기자] 커피 한 잔을 내릴 때 사용되는 커피콩의 단 0.2%만이 우리가 마시는 커피가 되고, 나머지 99.8%의 찌꺼기는 버려진다.
이렇게 버려지는 커피 폐기물의 양은 우리나라에서만 연간 약 15만 톤에 달한다. 커피 찌꺼기를 매립하면 온실가스가 발생하고, 소각할 때에는 다량의 탄소가 발생해 환경문제가 된다.
이를 재활용해 반도체 폐수 정화 소재를 만들 방법이 개발돼 주목된다.
4일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생활폐기물로 버려지는 커피 찌꺼기와 생분해성 고분자를 복합화해 구리이온 제거용 나노복합필터를 개발하는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구조용복합소재연구센터 이민욱 박사 연구팀이 동국대학교 화학과 김영관 교수 연구팀과 공동으로 진행했다.
반도체 폐수 속 중금속은 신장, 간, 뇌와 같은 인체 주요 장기에 치명적인 손상을 초래할 수 있는데, 최근 반도체 생산 증가로 배출량이 늘고 있다. 구리를 비롯한 반도체 폐수 속의 중금속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정제기술이 반드시 필요한 이유다.
커피 찌꺼기의 표면은 다공성 구조일 뿐 아니라, 음전하를 띠고 있는 다양한 기능기들로 구성돼 있어 양전하를 띠는 폐수 속 중금속을 흡착하는 데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 연구는 커피 찌꺼기를 물에 푸는 방식이었기 때문에 쓰고 난 커피 찌꺼기를 다시 수거해야 한다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연구팀은 KIST 전북분원이 보유한 복합소재 기술을 활용해 흔히 사용하는 캡슐커피 안의 커피 찌꺼기를 수거한 후 세척이나 불순물 제거와 같은 별도의 전처리 공정 없이 생분해성 플라스틱인 PCL과 함께 용매에서 균일하게 복합화할 수 있었다.
그 후 이 복합용액을 전기방사해 매우 촘촘하고 균일한 형태의 커피 찌꺼기와 생분해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나노복합필터를 제조했다. 이렇게 제조된 소재는 초기농도 100μM(마이크로몰라)의 폐수에서 4시간 안에 90% 이상의 중금속 제거 효율을 달성해 음용수 기준을 만족할 수 있었다.
캡슐 커피 1개(약 5g)으로 약 10L의 폐수를 정화할 수 있는 나노복합필터를 제조 가능하다.
KIST 이민욱 박사는 “이번 연구는 환경오염의 원인이 되는 폐기물을 간단하게 복합 소재로 만들어 경제적이면서도 친환경적인 수처리 기술을 개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앞으로는 커피 찌꺼기를 표면처리 하거나 다른 자연소재를 탐색해 친환경적이면서도 성능이 높은 다양한 필터를 개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비용효율화 효과” LGU+, 올해 1분기 영업익 전년比 15.6%↑
2025-05-08 11:24:33LG헬로비전, 올 1분기 실적 회복…영업익 전년比 73.1% '껑충'
2025-05-08 10:46:38“효자 디즈니+”...디즈니, 회계연도 2분기 영업익 전년比 15%↑
2025-05-08 10:42:28알뜰폰 중개 플랫폼 ‘모요’, 유심 무료 제공·배송 서비스 시작
2025-05-08 09:46:33입법조사처 "SKT 해킹사고 계기, 법에 위약금 면제 조치 추가해야"
2025-05-07 19:18:08카카오, AI 메이트 서비스 ‘카나나’ CBT 시작…개인화·그룹 기능 강화
2025-05-08 11:27:40프리즘, '제61회 백상예술대상' 글로벌 중계…"시청자만 380만"
2025-05-08 10:52:50이정재 회사 아티스트그룹, '재벌집 막내아들' 시즌2 공동 제작한다
2025-05-08 10:51:26[컨콜] 카카오-오픈AI, 본격 협업 단계 진입…“에이전트 AI에 집중”
2025-05-08 10:50:06“땡큐, 쿠키런” 데브시스터즈, 올 1분기 호실적…핵심 타이틀 경쟁력 강화
2025-05-08 10:49:26하이브IM, 넥써쓰와 '던전스토커즈' 퍼블리싱 계약 해지
2025-05-08 10:15: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