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데일리 최민지 기자] 유튜브뮤직이 한국 음원시장을 장악하고 있다. 국내 음원업계는 ‘우려가 현실이 됐다’는 반응이다. 유튜브뮤직이 구글과 유튜브라는 막강한 플랫폼을 통해 국내 음원스트리밍 시장에서 영역을 확장하면서, 국내 음원 플랫폼사들은 생존을 위협받고 있다.
단순히 시장경쟁에서 우위를 놓쳐서가 아니다. 이들은 유튜브프리미엄 ‘끼워팔기’를 통한 유튜브뮤직 가입자 수 증가 정책의 부당함과 구글 인앱결제(앱 내 결제) 정책에 따른 국내 음원 앱 요금 인상, 저작권료 징수규정 관련 한국음악저작권협회(이하 음저협)과의 갈등 등에 따른 대외적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이처럼 국내 음원 앱이 삼중고에 직면하면서, 유튜브뮤직은 상대적으로 날개를 달았다는 것이다.
앱‧리테일 분석 서비스 와이즈앱·리테일·굿즈가 10세 이상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사용자를 표본 조사한 결과, 지난달 한국인이 가장 많이 사용한 음악 스트리밍 앱은 유튜브뮤직으로 나타났다. 사용자 수는 ▲유튜브뮤직 459만명 ▲멜론 454만명 ▲지니뮤직 232만명 ▲플로 149만명 ▲네이버바이브 106만명 ▲스포티파이 54만명 ▲카카오뮤직 36만명 ▲벅스 32만명 순이다.
유튜브뮤직 사용자 수는 전년 같은달 대비 111만명 증가하면서, 가장 큰 성장폭을 보였다. 네이버바이브와 스포티파이도 사용자 수 상승세를 보였다. 하지만, 같은 기간 ▲멜론 52만명 ▲지니뮤직 34만명 ▲플로 34만명 ▲카카오뮤직 20만명 ▲벅스 2만명 사용자 수 감소를 나타냈다.
유튜브뮤직이 멜론을 제치고 국내시장에서 1위를 차지한 결과다. 물론, 이번 조사 결과를 놓고 멜론에서는 조사표본이 한정됐다고 반박했다. 구글 안드로이드와 애플 iOS를 합산하면 여전히 멜론이 국내 1위 음악 스트리밍 앱 자리를 지키고 있다는 것이다. 표본수가 가장 많은 모바일 인덱스 기준 지난달 사용자 수는 ▲멜론 720만 ▲유튜브뮤직 478만 ▲삼성뮤직 472만 ▲지니뮤직 364만 ▲플로 245만명 순이다. 삼성뮤직도 멜론이 운영하기 때문에 합산 점유율 50%가 넘는다는 주장이다.
이에 대해 업계 관계자는 “조사표본을 떠나 유튜브뮤직이 국내 음악시장에서 크게 성장하고 있다는 결과가 중요하다. 기존 사업자 점유율이 떨어지고 있다는 건 분명하다”며 “문제는 앞으로도 이런 흐름이 이어질 수밖에 없고, 언젠가는 멜론이 1위라고 분명히 말할 수 없는 상황이 올지도 모른다. 국내 서비스에 진짜 위기 상황이 도래한 것”이라고 진단했다.
이미 국내 음원 서비스는 유튜브뮤직 끼워팔기와 구글 인앱결제 정책에 가격 경쟁력을 잃고 있다.
유튜브뮤직 월 이용료는 8690원(부가세 포함)이다. 하지만, 월 1만450원 유튜브프리미엄에 가입하면 광고 없이 유튜브를 볼 수 있고, 유튜브뮤직도 별도 비용 없이 함께 이용할 수 있다. 압도적인 1위 플랫폼 유튜브를 통해 유튜브뮤직 영향력을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국내 음원 서비스 사업자들은 경쟁제한 행위라고 반발했고, 2년 전 조사에 착수한 공정거래위원회(이하 공정위)는 이렇다 할 결론을 내지 못하고 있다.
여기에 더해 구글 인앱결제 정책으로 국내 음원 앱들은 사용자 가격을 10%가량 인상했다. 기존 월 7000원대 이용료를 냈다면, 안드로이드 인앱구매 때 8000원대 요금을 지불해야 한다.
과거엔 구글에 수수료를 내지 않아도 되는 웹 결제를 이용했지만, 구글플레이 앱마켓 정책에 따르려면 구글에 수수료를 지불하는 앱 결제 시스템을 구현해야 한다. 인앱결제 때 결제 수수료는 15~30% 늘었다. 업계에서는 인앱결제 이전과 동일한 수준으로 수익을 맞추려면 이용권 가격을 1.5배 이상 인상해야 한다고 보고 있으나, 이용자 이탈도 고려해야 하는 상황이다.
또한, 음원스트리밍 저작권료 지급안도 관건이다. 연말까지 징수규정을 마련할 예정으로, 인앱결제 수수료를 포함해 결제된 부분을 소급해 정산비율을 재조정하는 방안으로 가고 있다. 하지만, 한국음악저작권협회(이하 음저협)이 반대하고 있다. 음저협은 이를 소급하지 말고 인앱결제 수수료도 정산대상으로 봐야 한다는 입장이다. 이 경우, 국내 사업자 부담은 더욱 커진다.
업계 관계자는 “유튜브뮤직은 구글이라는 울타리 안에서 인앱결제 수수료에서도 자유롭다”며 “음악서비스 차별화를 꾀하기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각 사업자들은 사업 다각화를 꾀하고 있으나, 사업 본연에만 집중할 수 없는 외부 어려움이 겹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국내 음원 서비스에만 혜택을 달라는 것이 아니라, 공정경쟁할 수 있도록 정부와 협회 등에서 도와줬으면 한다”며 “이대로 가다가 무너질 수 있는 위기상황”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