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7일 인터넷 전문은행 케이뱅크의 모바일 앱이 7시간 동안 장애를 겪었다. 이를 통해 가상자산거래소 업비트 고객들도 일부 장애를 겪어야 했다. 케이뱅크측은 “일부 서버의 저장 장치에 문제가 생기면서 접속 장애가 발생했다”고 밝힌 상태다.
앞서 지난 2월 케이뱅크는 상암에 있던 IT센터를 목동에 위치한 KT 인터넷데이터센터(IDC)로 이전했다. 케이뱅크 IT센터가 위치를 옮긴 것은 지난 2017년 4월 설립 이후 처음으로 이번에 문제가 생긴 하드웨어 등을 포함한 이전작업이 이뤄진 바 있다.
19일 오전에는 기업은행 인터넷·모바일 뱅킹 서비스가 약 1시간 가량 멈춰섰다. 이 날 오전 8시부터 오전 9시 15분까지 약 1시간동안 인터넷 뱅킹 사이트, 모바일뱅킹 앱 등의 이용이 어려웠다.
앞서 지난달 25일에는 우리은행의 모바일뱅킹 애플리케이션 ‘우리WON뱅킹’이 오전 한때 접속이 되지 않는 장애가 발생하기도 하는 등 최근 한달 새 연이은 은행권 뱅킹 시스템 장애로 고객들의 원성도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금융감독원이 국민의힘 윤창현 의원실에 제출한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금융권의 전산 장애는 ▲2019년 196건 ▲2020년 198건 ▲지난해 228건으로 매년 늘고 있다.
지난 2019년부터 올해 8월까지 최근 4년간 은행권에서 발생한 전산 장애는 은행이 275건으로 케이뱅크의 전산 장애가 34건으로 가장 많았다. 뒤 이어 ▲신한은행(32건) ▲카카오뱅크(27건) ▲산업은행(25건) ▲SC제일은행(23건) ▲토스뱅크(17건) ▲하나은행(16건) ▲KB국민은행(15건) ▲수협은행·▲우리은행(14건)이 뒤를 이었다.
업계에선 은행권의 전산관련 인력 부족과 일부 중요 뱅킹 서비스의 도급 사업이 한 원인일 것으로 보고 있다. 물론 하드웨어 장비 등의 장애도 원인이지만 근본적으로는 금융 시스템 운영 인력의 부족과 이에 따른 전문 인력 확보가 어려워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SKT 유영상 “돈버는 AI 성과 본격화”…AI 성과 가시화 재차 강조
2025-04-04 10:44:29'尹 운명의 날'…통신3사, 탄핵선고 앞두고 총력 대비
2025-04-04 10:08:18[단독] 유료방송 위기여파 PP로…“콘텐츠 사용료 약 1200억원 감소 전망”
2025-04-03 17:44:35[DD퇴근길] 5대 AI에게 물었다…"尹 탄핵심판 결과, 어떨 것 같니?"
2025-04-03 17:13:51[인터뷰] 이해민 의원, "美 통상마찰 없이 '망 무임승차' 해결하려면"
2025-04-03 15:59:44KT알파 쇼핑, 국내 로봇청소기 시장 점유율 1위 ‘로보락’ 최신상 판매
2025-04-03 13:35:10크래프톤 ‘인조이’, 출시 1주 만에 100만장 판매… ‘배그’보다 빨랐다
2025-04-04 10:44:51"취향 따라 고르는 뷰티"…29CM, 첫 '이구뷰티위크' 연다
2025-04-04 10:44:10中 '폭싹 속았수다' 도둑 시청 인정?…장가계시 홍보 수단으로 사용
2025-04-04 09:35:23[네카오는 지금]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임박, 트래픽 폭증 대응책은?
2025-04-03 18:11:06[DD퇴근길] 5대 AI에게 물었다…"尹 탄핵심판 결과, 어떨 것 같니?"
2025-04-03 17:13:51응급실 온 전통킥보드 사고 환자, 4명 중 3명은 헬멧 안 썼다
2025-04-03 17:13: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