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형준 차세대지능형반도체사업단장 키노트 연설
[디지털데일리 김도현 기자] “전 세계 반도체 조립·테스트 아웃소싱(OSAT) 랭킹 25위 중 한국 기업은 4곳뿐이다. 톱10에는 하나도 없다.”
5일 김형준 차세대지능형반도체사업단장은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반도체대전(SEDEX) 2022’ 기조강연을 통해 이같이 말했다.
시장조사기관 욜디벨롭먼트에 따르면 반도체 패키징 시장은 2021년부터 2027년까지 연평균 19% 성장할 전망이다. 반도체 미세화로 전공정 단계에서 성능 개선이 어려워지자 후공정 분야 연구개발(R&D)이 활발해진 영향이다.
이날 김 단장은 “무어의 법칙에 따라 트랜지스터 수가 늘어나는데 이는 비용 급증이라는 문제를 일으킨다”며 “2~3나노미터(nm) 노드를 기점으로 미세공정은 한계가 올 것이다. 이를 최소화하는 것이 칩렛”이라고 전했다.
칩렛은 쉽게 말해 ‘반도체 조각’이다. 단일 칩 성능 한계 및 고비용을 극복하기 위해 칩렛을 결합하는 방식이 등장했다.
김 단장은 “칩렛과 칩렛을 어떻게 연결할지가 핵심이다. 이 과정에서 반도체 패키징 중요성이 증대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삼성전자 TSMC 인텔 퀄컴 AMD ARM 등 반도체 회사는 물론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메타 등 소프트웨어 기업은 칩렛 기술을 극대화하기 위해 ‘UCIe(Universal Chiplet Interconnect Express) 컨소시엄’을 구축했다.
UCIe는 서로 다른 공정 기술은 가진 반도체 제조사가 생산한 칩렛이 첨단 패키징 기술 등을 통해 통합될 때 정상 작동할 수 있는 개방형 생태계를 확립하는 게 목적이다.
현시점에 반도체 패키징은 대만이 최강자다. 관련 매출액의 52%를 차지한다. 반도체 위탁생산(파운드리) 1위 TSMC를 필두로 탄탄한 밸류체인이 형성된 덕분이다. 중국(21%), 미국(15%)이 뒤를 잇는다. 한국은 6%에 그친다.
이런 가운데 국가적 지원은 우리나라보다 대만, 중국 등이 더 풍부하다. 정부 연구기관 중심의 개발 지원과 세제 혜택 등이 주어지는 데 반해 국내는 대기업에 의존하는 모양새다.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재명 1호 공약 실현한다…민주당 정보통신위원회, LGU+ 평촌메가센터 방문
2025-05-13 13:47:25SKT 1분기 설비투자, 3사 중 가장 적어…“정보보호 투자 소홀과 무관”
2025-05-13 11:55:30통신3사 ‘갤럭시S25 엣지’ 사전예약 실시…“SKT는 기기변경만”
2025-05-13 10:41:03LGU+·토스 협업, AI ‘익시’ 브랜드 행사에 180만명 참가
2025-05-13 09:41:49통신3사, 비용통제로 영업익 사수…“AI 수익 가시화 시동”
2025-05-12 18:54:16AI 사라진 SKT 컨콜, 2분기 어쩌나…“본원적 경쟁력 강화 집중”(종합)
2025-05-12 18:49:23[현장] 10년간 115팀 투자…네이버 D2SF가 만든 테크 스타트업 생태계
2025-05-13 12:00:00비스테이지+, 위챗 미니프로그램 론칭…中 팬덤 시장 노크
2025-05-13 11:26:20kt 밀리의서재-지니뮤직, 하이라이트 낭독 '사랑의 생애' 오디오북 공개
2025-05-13 10:25:28“게임 활약 아쉽네” NHN, 2분기부터 핵심 사업 ‘선택과 집중’ 펼친다(종합)
2025-05-13 10:11:57컴투스홀딩스, 1분기 영업손실 32억원…"하반기 신작 5종 출시"
2025-05-13 09:57: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