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형준 차세대지능형반도체사업단장 키노트 연설
[디지털데일리 김도현 기자] “전 세계 반도체 조립·테스트 아웃소싱(OSAT) 랭킹 25위 중 한국 기업은 4곳뿐이다. 톱10에는 하나도 없다.”
5일 김형준 차세대지능형반도체사업단장은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반도체대전(SEDEX) 2022’ 기조강연을 통해 이같이 말했다.
시장조사기관 욜디벨롭먼트에 따르면 반도체 패키징 시장은 2021년부터 2027년까지 연평균 19% 성장할 전망이다. 반도체 미세화로 전공정 단계에서 성능 개선이 어려워지자 후공정 분야 연구개발(R&D)이 활발해진 영향이다.
이날 김 단장은 “무어의 법칙에 따라 트랜지스터 수가 늘어나는데 이는 비용 급증이라는 문제를 일으킨다”며 “2~3나노미터(nm) 노드를 기점으로 미세공정은 한계가 올 것이다. 이를 최소화하는 것이 칩렛”이라고 전했다.
칩렛은 쉽게 말해 ‘반도체 조각’이다. 단일 칩 성능 한계 및 고비용을 극복하기 위해 칩렛을 결합하는 방식이 등장했다.
김 단장은 “칩렛과 칩렛을 어떻게 연결할지가 핵심이다. 이 과정에서 반도체 패키징 중요성이 증대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삼성전자 TSMC 인텔 퀄컴 AMD ARM 등 반도체 회사는 물론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메타 등 소프트웨어 기업은 칩렛 기술을 극대화하기 위해 ‘UCIe(Universal Chiplet Interconnect Express) 컨소시엄’을 구축했다.
UCIe는 서로 다른 공정 기술은 가진 반도체 제조사가 생산한 칩렛이 첨단 패키징 기술 등을 통해 통합될 때 정상 작동할 수 있는 개방형 생태계를 확립하는 게 목적이다.
현시점에 반도체 패키징은 대만이 최강자다. 관련 매출액의 52%를 차지한다. 반도체 위탁생산(파운드리) 1위 TSMC를 필두로 탄탄한 밸류체인이 형성된 덕분이다. 중국(21%), 미국(15%)이 뒤를 잇는다. 한국은 6%에 그친다.
이런 가운데 국가적 지원은 우리나라보다 대만, 중국 등이 더 풍부하다. 정부 연구기관 중심의 개발 지원과 세제 혜택 등이 주어지는 데 반해 국내는 대기업에 의존하는 모양새다.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글, 1000억 규모 韓 보조금 받는 셈”…망 무임승차, 소비자 편익 어떻게 저해했나
2025-04-10 14:33:51KT, 전사 AX 가속화 위한 '액셀러레이터 TF' 출범
2025-04-10 12:24:35[인터뷰] "게임도 AX가 살 길"…엔씨 출신 상무가 말하는 KT AI의 강점은?
2025-04-10 09:14:43수술대 오르는 방통위, 야당이 메스 잡나 [IT클로즈업]
2025-04-10 06:30:00[DD퇴근길] 카카오엔터 매물로?…노조 반발에 카카오 대답은
2025-04-09 17:07:20우버, 매주 토요일 택시비 2만원 쿠폰 쏜다…"봄맞이 놀토 즐기기"
2025-04-10 11:09:11여행 플랫폼 '트리플', 메인 홈 개편…숏폼·AI 더했다
2025-04-10 10:34:13비피엠지, 신규 서비스 및 일본 진출로 생태계 확장 본격화
2025-04-10 10:31:46윤송이 전 엔씨 사장, NC문화재단도 퇴직…유망 스타트업 발굴 집중
2025-04-10 10:16:22카카오T, 1분기 택시앱 관심도 1위…우버·타다 뒤이어
2025-04-10 10:15:51넷마블 ‘RF 온라인 넥스트’, 출시 열흘 만에 100억원 벌었다
2025-04-10 09:4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