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반도체 기업, 中 매출 비중 크고 현지 공장 운영
- 업계 “미국과 중국 사이서 전략적 판단 필요”
[디지털데일리 김도현 기자] 반도체 산업의 불확실성이 최고조에 달하고 있다. 글로벌 인플레이션에 미·중 분쟁 심화까지 겹친 탓이다. 두 나라 사이에서 선택을 강요받는 우리나라 역시 상황이 좋지 않다. 국내 기업은 일련의 과정을 예의주시하고 있으나 국제정세와 얽힌 만큼 대응이 쉽지 않은 상태다.
19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삼성전자 디바이스솔루션(DS) 부문과 SK하이닉스의 재고자산(6월 말 기준) 총액은 각각 21조5080억원, 11조8787억원이다. 지난해 말보다 30.7%와 33.2% 늘어난 수치다. 양사는 보유자산 중 재고자산 비율이 두 자릿수로 올랐다.
전 세계적인 경기침체가 길어지면서 소비심리 위축으로 완제품 판매가 줄어들자 반도체 수요도 급감한 영향이다. 문제는 반도체 공장은 한 번 가동하면 생산을 지속해야 해서 재고가 더 쌓일 여지가 있다는 점이다. 라인 중단 시 제조 중인 웨이퍼를 오염 등 문제로 폐기하는데 이에 대한 손실이 크다는 이유에서다.
업계에서는 하반기 반도체 업황을 부정적으로 보고 있다. 시장조사기관은 메모리 가격 하락 등을 예고했고 엔비디아, 마이크론 등은 컨센서스를 하향 조정하는 동시에 시설투자 속도 조절에 나섰다. 증권가에서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3분기 영업이익이 전기 및 전년동기대비 감소할 것으로 예상 중이다.
이러한 가운데 한국은 미국 주도 반도체 공급망 협의체 ‘칩4’ 가입을 앞두고 있다. 칩4는 바이든 행정부가 제안한 것으로 미국 한국 일본 대만 등이 대상국이다. 표면적인 명분은 기술동맹을 통한 반도체 공급망 강화지만 실질적인 목표는 중국 제재다.
이는 지난 9일(현지시각) 미국이 반도체 지원법을 발효하면서 드러났다. 해당 법안에는 세제 혜택 등 미국 정부 지원을 받는 기업의 중국 내 첨단 반도체 시설투자를 금지하는 조항이 담겼다.
일본, 대만과 달리 한국은 고심이 크다. 반도체 수출 60%가 중국(홍콩 포함)에서 나오기 때문이다. 과거 사드(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 사태와 같은 보복이 반복되면 막대한 타격이 불가피하다. 이미 중국은 직간접적으로 불만을 나타내고 있다.
그렇다고 칩4 참여를 미룰 수만도 없다. 미국은 중국보다 전체 시장 규모는 작을 수 있으나 글로벌 반도체 설계(팹리스)·장비·전자설계자동화(EDA) 업체들이 즐비하다. 미국과 단절하면 사실상 반도체 사업을 접어야 한다는 말이 나올 정도다. 일본(소재 및 장비), 대만(파운드리 및 후공정)과 잠재적인 관계 악화까지 고려할 문제이기도 하다.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SKT 유영상 “돈버는 AI 성과 본격화”…AI 성과 가시화 재차 강조
2025-04-04 10:44:29'尹 운명의 날'…통신3사, 탄핵선고 앞두고 총력 대비
2025-04-04 10:08:18[단독] 유료방송 위기여파 PP로…“콘텐츠 사용료 약 1200억원 감소 전망”
2025-04-03 17:44:35[DD퇴근길] 5대 AI에게 물었다…"尹 탄핵심판 결과, 어떨 것 같니?"
2025-04-03 17:13:51[인터뷰] 이해민 의원, "美 통상마찰 없이 '망 무임승차' 해결하려면"
2025-04-03 15:59:44KT알파 쇼핑, 국내 로봇청소기 시장 점유율 1위 ‘로보락’ 최신상 판매
2025-04-03 13:35:10우아한형제들, 지난해 매출 4조원 벽 뚫었지만…무료배달 경쟁에 영업익 감소
2025-04-04 15:16:39지난해 외형 커진 배민·쿠팡이츠·요기요…수익성 개선은 공통 과제로
2025-04-04 15:16:17[네카오는 지금] 美 협상카드된 ‘플랫폼 규제 완화’…새로운 기회될까
2025-04-04 14:45:38김수현 '넉오프' 보류한 디즈니+, '재혼황후'로 텐트폴 채울까
2025-04-04 12:23:06[윤석열 파면] "윤석열 대통령을 파면한다" 한 마디에 '카톡' 불 붙었다
2025-04-04 11:46:30크래프톤 ‘인조이’, 출시 1주 만에 100만장 판매… ‘배그’보다 빨랐다
2025-04-04 10:44: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