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윤상호 칼럼

[취재수첩] 엑스포 유치 총력전에 감춰진 숙제

- 정부, 엑스포 띄우기 앞서 국민·기업 경제 애로 살펴야


[디지털데일리 윤상호 기자] ‘2030 부산세계박람회(엑스포)’ 유치를 두고 정부와 기업이 떠들썩하다. 2030 엑스포는 국제박람회기구(BIE)가 5년 주기로 개최하는 ‘등록 엑스포’다. 개최지는 2023년 11월 BIE 회원국 170개 국가 투표로 결정한다.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 ▲이탈리아 로마 등이 경쟁자다.

등록 엑스포는 ▲올림픽 ▲월드컵과 함께 세계 3대 행사로 여겨진다. 우리나라는 1993년 대전 엑스포와 2012년 여수 엑스포 등 ‘인정 엑스포’는 연 적이 있지만 등록 엑스포는 치른 적이 없다.

정부는 지난 8일 ‘2030 부산세계박람회 유치위원회’를 발족했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최태원 SK그룹 회장 ▲정의선 현대자동차 회장 ▲구광모 LG 회장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 ▲손경식 CJ그룹 회장 등이 위원회 위원으로 이름을 올렸다.

개별 기업 차원에서도 이를 지원하기 위해 앞다퉈 나서고 있다. 회사 내부에 유치 태스크포스(TF) 등 조직을 만들고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윤석열 대통령도 부산엑스포 유치를 국정과제로 삼고 적극적으로 기업을 독려하고 있다. 지난 5월 부산엑스포 유치 지원 민간위원회 출범식을 찾아 “우리가 가진 모든 역량을 결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부산시 등에 따르면 부산엑스포 경제적 효과는 61조원, 일자리는 50만개를 기대할 수 있다. 하지만 지금의 상황이 엑스포 유치에 우리가 가진 모든 역량을 결집해야 할 때인지 의문이다. 기업 역시 물밑에서는 볼멘소리를 토로한다. 새 정부 출범 직후 이어진 대통령 재임 기간에 맞춘 투자계획 발표, 총수 및 주요 경영진의 각종 정부 행사 참가 등 기업 줄 세우기가 해도 너무하다는 불만이다.

국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1998년 외환위기 이후 처음으로 6%대를 찍었다. 기대인플레이션율은 10여년 만에 가장 높은 3.9%에 이르렀다. 원화 약세도 심상치 않다. 환율은 ▲1997년 국제통화기금(IMF) 사태 ▲2011년 닷컴 버블 붕괴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4번째로 1300원대를 넘나들고 있다. 수출에 유리하다는 상식 범위를 초과했다. 우리 주식시장은 급락했다. 외환보유액은 지난달까지 4개월 연속 감소했다.

여전히 새 정부의 경제 정책 우선순위가 무엇인지 구체적 실현 방안은 무엇인지 국민도 기업도 잘 와닿지 않는다. 윤 대통령 긍정평가는 취임 2개월 만에 30%대로 떨어졌다. 우리나라의 ‘엑스포 유치’라는 명예가 무엇을 위한 다시 한번 생각해 볼 때다. 지금 우리나라 경제를 살려야 2030년 61조원도 있다.
디지털데일리 네이버 메인추가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