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차세대 전력반도체로 주목
- 국내 공급 생태계 조성
[디지털데일리 김도현 기자] 자동차 동력이 내연기관에서 전기로 전환하면서 핵심 부품인 반도체도 세대교체가 이뤄지고 있다. 기존 실리콘(Si) 대비 전력효율 등이 우위인 실리콘카바이드(SiC)가 변화의 중심이다. SiC 시장이 개화하는 가운데 국내에 공급망이 형성되고 있다. 우리나라가 차세대 반도체 경쟁에서 한발 앞설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11일 업계에 따르면 국내외 반도체 기업이 한국 내 SiC 투자를 연이어 단행하고 있다. 테슬라 현대차 등 글로벌 고객사가 타깃이다.
SiC 반도체는 SiC 웨이퍼로 만든다. 해당 부품은 Si와 탄소(C)를 높은 온도로 가열해 제조한 인공 화합물인 탄화규소로 제작한다. 고온과 고전압의 극한 환경에서도 전력 변환 손실이 적어 전력반도체 기반으로 적합하다. 전력반도체는 ▲전자제품 ▲전기차 ▲수소차 ▲5세대(5G) 이동통신망 등 전류 방향을 조절하고 전력 변환을 제어한다.
지난 2018년 테슬라가 업계 최초로 전기차에 SiC 반도체를 탑재하면서 완성차업체의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 이후 현대차 GM 등이 연달아 채택하면서 성장세가 가파르다. 시장조사기관 욜은 SiC 반도체 시장 규모가 2019년 5억달러에서 2025년 26억달러로 커질 것으로 내다봤다. 이러한 상황에서 유수의 반도체 장비회사가 주요 거점을 마련하는 등 한국이 반도체 허브로 부상하면서 SiC 생태계까지 구축되는 분위기다.
전력반도체 세계 2위 미국 온세미는 경기 부천에 1조4000억원을 투입하기로 했다. 이번 투자로 온세미는 전력반도체 생산능력(캐파)이 세계 1위로 올라설 전망이다. 당초 온세미는 스위스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독일 인피니언 등 SiC 강자가 즐비한 유럽에 생산기지를 조성하려 했으나 경기도의 외국인직접투자 인센티브, 부천시의 기업투자 촉진을 위한 조례 제정 등에 마음을 돌린 것으로 전해진다.
온세미는 SiC 생산 과정에서 필요한 소재·부품·장비(소부장) 3500억원 이상을 국내 협력사로부터 구매할 계획이다. 경기도는 앞서 미국 어플라이드머티리얼즈·네덜란드 ASML·미국 램리서치·일본 TEL 등 연구개발(R&D) 센터 설립을 유치한 바 있다. 경기 남부에 자리 잡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을 더해 세계적인 반도체 벨트가 만들어질 것으로 보인다.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스터디그룹·선의의 경쟁 봤지?"…와이랩, 이제는 '넷플릭스'다
2025-02-23 16:48:11통신3사, MWC25서 'AI 각축전' 예고…유상임 장관 깜짝 회동할까
2025-02-23 14:57:14[OTT레이더] 인생을 건 머니게임이 시작됐다, 웨이브 ‘보물섬’
2025-02-23 12:04:50[인터뷰]“밤 9시까지 AI 열정!”...’KT에이블스쿨 전형’이 신설된 이유는?
2025-02-23 09:00:00연간 통신분쟁 전년 대비 22% 급증…”이용계약 관련 분쟁이 절반”
2025-02-21 17:39:30[DD퇴근길] 계속되는 '망 사용료 갈등'…MWC, 논의의 장으로
2025-02-21 17:28:22"스터디그룹·선의의 경쟁 봤지?"…와이랩, 이제는 '넷플릭스'다
2025-02-23 16:48:11신작 시험대, ‘스팀 넥스트 페스트’ 개막… K-게임도 출전 준비 완료
2025-02-23 12:03:00[툰설툰설] 신분차이 로맨스…재벌과의 인터뷰 vs 품격을 배반한다
2025-02-23 11:42:17SM·카카오엔터 합작 英 보이그룹 '디어앨리스' 공식 데뷔
2025-02-21 17:28:39[DD퇴근길] 계속되는 '망 사용료 갈등'…MWC, 논의의 장으로
2025-02-21 17:28:2229CM, 상반기 ‘이구홈위크’ 전년비 거래액 2배 돌파…“주방용품·홈 패브릭 상품 추천 적중”
2025-02-21 16:24: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