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데일리 백지영기자] “누리호 발사가 절반의 성공, 미완의 실패이라는 말을 하는데, 이번 발사는 첫 번째 비행시험이다. 내년 5월 두 번째 비행시험도 있다. 발사체 개발 과정인만큼, 이를 성공 혹은 실패로 규정짓긴 어려울 것 같다.”
21일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에서 진행된 누리호 발사 관련 브리핑에서 권현준 과기정통부 거대공공연구정책관은 이같이 말했다. 권 정책관은 “이번 발사는 시험비행”이라며 “항공우주연구원(항우연)의 많은 분들이 계단 하나 남았다고 생각이 든다. (내년 5월엔) 성공할 수 있도록 격려 부탁한다”고 울먹이는 모습을 보였다.
이날 오후 5시 이륙한 첫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KSLV-II)는 1단, 페어링, 2단 분리 등 모든 비행 절차를 성공적으로 마쳤다. 하지만 3단에 장착된 7톤급 액체 엔진이 521초 간 연소해야 하는데 475초에 조기 종료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로켓에 실렸던 위성모사체(더미 위성)는 고도 700km 목표에는 도달했으나 7.5km/s의 속도에는 미치지 못해 최종 목표인 궤도 안착에는 실패했다.
고정환 항우연 한국형발사체개발본부장도 이날 브리핑에서 “오늘 비행을 실시간으로 보면서 아쉽다는 생각이 들었다”며 “1단 점화부터 모든 과정이 정확한 시간에 이뤄졌는데, 딱 하나 연소 시간이 짧으면서 궤도에 들어가지 못한 것이 아쉽다”고 소회를 밝혔다.
그는 “3단이 비행하면서 40~50초정도 일찍 종료된 것으로 보이는데, 현재 계측 데이터를 다 보지 못했기 때문에 분석이 필요하다”며 “엔진 조기 종료 원인에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다. 탱크 내부 압력이 부족했다든지, 연소 종료 명령이 잘못됐다든지 하는 원인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다만 과기정통부와 항우연 “내부적으로는 아쉽지만 대체로 성공했다”는 쪽에 무게를 뒀다.
이상률 항우연 원장은 “1단부의 75톤급 엔진이 3월 종합연소시험처럼 실제 비행에서도 작동할 수 있을지를 가장 우려했는데 그 부분은 아주 완벽히 잘 됐기 때문에 성공쪽으로 무게를 긷고 싶다”며 “3단 엔진의 연소시간이 짧았던 부분은 분석을 해봐야겠지만, 원인을 찾고 대책을 수립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과기정통부는 항우연 연구진과 외부전문가들이 참여하는 발사조사위원회를 구성해 3단 엔진 조기 종료의 원인을 정확히 규명하고, 문제점을 보완해 내년 5월 19일 2차 발사를 추진할 예정이다. 1차 발사에는 1.5톤 더미 위성이 탑재됐지만, 2차 발사에는 0.2톤급 성능 검증 위성과 1.3톤급 더미 위성이 탑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