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자동차

'각 잡은' 폭스바겐, 韓 배터리 위기?…삼성SDI는 웃는다

- LG·SK 직격탄 우려…각형·전고체전지 기술 갖춘 삼성 호재

[디지털데일리 김도현 기자] 독일 폭스바겐의 발표로 전기차 시장이 들썩였다. 국내 배터리 업계에 위기론이 제기되지만 모두가 악재는 아니다. 직격탄을 맞은 LG에너지솔루션, SK이노베이션과 달리 삼성SDI는 수혜가 기대된다.

15일(현지시각) 폭스바겐은 ‘파워데이’를 열고 오는 2023년부터 2030년까지 각형 배터리 비중을 80%로 높이겠다고 밝혔다. 차세대 배터리로는 전고체전지를 낙점했다.

전기차 배터리는 모양에 따라 크게 각형·파우치형·원통형으로 나뉜다. ▲각형은 BMW·벤츠 ▲파우치형은 GM·현대차 ▲원통형은 테슬라가 주로 쓴다.

폭스바겐은 LG에너지솔루션·SK이노베이션으로부터 파우치형, 중국 CATL·삼성SDI으로부터 각형 배터리를 조달했다. 비중은 파우치형이 높았지만 이번 발표로 반대가 될 전망이다. LG와 SK는 최대 20% 물량을 두고 경쟁하게 됐다. 현시점과 비교해 대폭 축소다.

각형은 대량 생산에 유리하고 내구성이 좋다는 장점이 있다. 사각 캔 형태여서 배터리 모듈을 제거한 셀투팩(CTP) 구현에도 적합하다. 폭스바겐은 2024년부터 선보일 자율주행차에 CTP 기술을 활용할 것으로 알려졌다.

표면적으로는 스웨덴 노스볼트와 CATL이 가장 큰 이익을 볼 것으로 보인다. 두 업체는 각형 배터리가 주력이다. 각각 명분은 자체 또는 유럽 내 배터리 생산, 중국 시장 공략이다.

폭스바겐은 유럽에 40기가와트시(GWh) 규모 공장 6개를 지을 계획이다. 일부는 노스볼트와 합작, 나머지는 자체 구축이다. 폭스바겐은 노스볼트에 자금을 투입하면서 두터운 관계를 형성했다. 자체 배터리 생산에 큰 도움을 줄 예정이다.

중국은 폭스바겐 매출의 40% 내외를 차지하는 국가다. 중국 시장 특성상 현지 배터리 업체와 손잡으면 공략이 수월해진다. 원가 경쟁력이 높은 CATL, BYD 등을 통한 배터리 비용 절감도 가능하다.
직접적인 언급은 없었지만 또 다른 승자는 삼성SDI다. 폭스바겐은 세계 최대 완성차업체다. 노스볼트와 CATL이 모든 물량을 소화할 수는 없다. 배터리 업계 관계자는 “자동차 업체들은 특정 업체에 일감을 몰아주기보다는 안정적인 공급망 확보를 위해 멀티 벤더 체제를 선호한다”고 설명했다.

삼성SDI는 각형 배터리 업체 중 기술력에서 가장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는다. 그동안 삼성SDI는 폭스바겐에 니켈 함유량 60% 수준의 각형 배터리 제공해왔다. 전기차 주행거리 증대를 위해 하이니켈 배터리는 필수적인 만큼 니켈 비중은 점점 높아질 전망이다. 삼성SDI는 올해부터 니켈 함유량 88% 이상인 니켈·코발트·알루미늄(NCA) 배터리 ‘젠5’를 생산한다. 품질에서 노스볼트, CATL 등은 삼성SDI와 격차가 있다.

폭스바겐이 미래 배터리로 고려 중인 전고체전지 분야에서도 삼성SDI는 경쟁사 대비 앞선 상태다. 전고체전지는 리튬이온을 옮기는 역할을 하는 전해질을 액체가 아닌 고체로 변경한 제품이다. 기존 배터리 대비 외부 충격에 강하고 에너지밀도가 높아진다. 적용 시 1회 충전에 800킬로미터(km) 주행 및 1000회 이상 재충전이 가능할 전망이다.

삼성SDI는 전고체전지 개발 속도를 높이고 있고 지난해 삼성종합기술원이 전고체전지 원천기술을 공개하기도 했다. 현대차에서도 관심을 보일 정도다. 현재 폭스바겐은 미국 퀀텀스케이프와 전고체전지 관련 협업을 진행하고 있지만 업계에서는 추가 협력사 확보 차원에서 대량 생산체제를 갖춘 삼성SDI와의 논의가 이뤄질 것으로 보고 있다.

공교롭게도 삼성SDI는 최근 헝가리법인에 약 9400억원을 투자하기로 했다. 헝가리 1공장 내 생산라인 추가에 이어 2공장 증설도 검토 중이다. 생산능력 확대를 통해 폭스바겐의 추가 주문에 대응할 수 있다는 의미다.

다른 관계자는 “이번 이슈로 노스볼트와 CATL이 주목받고 있지만 숨겨진 승자는 삼성SDI”라면서 “폭스바겐 내 국내 배터리 3사 비중은 전반적으로 줄겠지만 각형과 전고체전지 기술력을 보유한 삼성이 LG와 SK 축소분을 어느 정도 상쇄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김도현 기자>dobest@ddaily.co.kr
디지털데일리 네이버 메인추가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