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는 최근 미국 정부의 거래제한에 따른 조치로 보인다. 앞서 미국 상무부는 화웨이와 68개 계열사를 거래 제한 기업 리스트에 올렸다. 미국 기업들이 이들과 거래하려면 당국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이에 따라 인텔과 구글, 퀄컴 등 미국 기업들은 화웨이에 자사 제공 중단을 알렸다. MS 역시 이같은 제재에 동참한 것으로 보인다. 물론 MS 측은 이에 대한 공식 입장을 밝히지 않았다.
이번에 MS 웹사이트에서 정보가 삭제된 애저스택HCI는 MS의 하이브리드 구축 솔루션이다. MS가 운영 중인 퍼블릭 클라우드 서비스 ‘애저(Azure)’의 핵심 기술을 어플라이언스 형태로 구현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기업 내부에 구축 형태로 도입되지만, MS 애저와 연결이 가능해 필효시 퍼블릭 클라우드 서비스로의 확대가 가능하다.
그동안 화웨이는 애저스택HCI에 자사 서버를 제공해 왔다. 화웨이 뿐만 아니라 델 EMC, HPE, 레노버, 데이터온, 후지쯔, QCT, 액셀리오, 슈퍼마이크로, 에이수스, 블루칩, 히타치, NEC, 프라임라인솔루션즈, 시큐어가드, 수곤, 토마그-크렌.AG 등 다수의 업체들이 애저스택HCI의 파트너로 활동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 MS의 웹사이트에선 화웨이의 서버 제품이 목록에서 빠져있다. 애저스택 소객 웹사이트에는 아직까지 화웨이 로고가 게재돼 있지만, 실제 하드웨어 파트너를 찾아볼 수 있는 제품 정보에선 화웨이가 삭제됐다. 노트북과 마찬가지로 애저스택HCI에서도 MS의 윈도서버 운영체제(OS)가 탑재되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백지영 기자>jyp@ddaily.co.kr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재명 1호 공약 실현한다…민주당 정보통신위원회, LGU+ 평촌메가센터 방문
2025-05-13 13:47:25SKT 1분기 설비투자, 3사 중 가장 적어…“정보보호 투자 소홀과 무관”
2025-05-13 11:55:30통신3사 ‘갤럭시S25 엣지’ 사전예약 실시…“SKT는 기기변경만”
2025-05-13 10:41:03LGU+·토스 협업, AI ‘익시’ 브랜드 행사에 180만명 참가
2025-05-13 09:41:49통신3사, 비용통제로 영업익 사수…“AI 수익 가시화 시동”
2025-05-12 18:54:16AI 사라진 SKT 컨콜, 2분기 어쩌나…“본원적 경쟁력 강화 집중”(종합)
2025-05-12 18:49:23네이버 웹툰엔터, 1분기 영업적자 387억원…"2분기 글로벌 확장 나설 것"
2025-05-14 07:11:56넥써쓰 장현국 대표, 두바이 상공회의소 방문… 글로벌 협력 논의
2025-05-14 07:11:13넥슨게임즈, 1분기 적자전환…"신작 개발로 인건비 증가"
2025-05-13 17:44:51게임위, "1~4월 불법게임물 행정조치 전년比 2배 이상 증가"
2025-05-13 17:22:26신작 부재·소송 비용 탓에…웹젠, 1분기 영업익 50.5% ‘급감’
2025-05-13 17:15:07[DD퇴근길] 넥슨 또 날았다…던파·메이플 흥행, 1Q 매출 1조 돌파
2025-05-13 17:01: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