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데일리 윤상호기자] KT가 블록체인 주도권 확보에 나섰다. 인터넷처럼 블록체인이 삶을 변화시킬 기반 기술이라고 강조했다. 2022년까지 1조원 시장을 만든다. 블록체인을 활용한 다양한 사업 기회를 마련한다.
24일 KT는 서울 종로구 KT스퀘어에서 ‘블록체인 사업전략 기자설명회’를 개최했다.
김형욱 KT 플랫폼사업기획실장은 “유행이라 하는 것이 아니다. KT는 블록체인을 가장 잘 할 수 있는 회사다. 4년 전부터 연구개발에 힘을 쏟았다”라며 “인터넷이 그랬던 것처럼 블록체인이 기반 기술을 바꿀 것”이라고 강조했다.
KT는 이날 상용망에 블록체인을 적용한 ‘KT네트워크 블록체인’을 발표했다. 네트워크에 블록체인을 결합한 노드를 구축했다. 속도와 신뢰 두 마리 토끼를 잡았다는 것이 KT의 설명이다. 블록체인은 속도와 용량 때문에 사업화와 투명성 우려가 제기된 바 있다.
서영일 KT 블록체인센터장은 “KT엠하우스의 블록체인 기반 기프티콘 사업의 성능은 2500TPS(Transactions Per Second, 초당 거래량)다. 연말까지 1만TPS 2019년말까지 10만TPS를 달성할 계획”이라며 “1만TPS면 은행 거래 등을 10만TPS면 증권 거래 등에 충분한 성능”이라고 평가했다. KT는 투자와 성능이 비례한다고 했다. 10만TPS 이상 제공 여부는 서비스 발전 상황에 맞춰 결정하겠다고 했다.
상용망에 블록체인을 적용하면 해킹 위협이 사라진다. 해킹은 인터넷 주소(IP) 노출이 출발점이라는 것이 KT의 주장. 블록체인은 IP기반 인터넷을 아이디(ID)기반 인터넷으로 전환하는 매개다. 블록체인 ID가 IP를 대신하는 구조다. IP를 숨길 수 있기 때문에 해킹 위협을 벗어나는 형태다. 이 블록체인 ID는 각종 서비스 IP와 패스워드도 대체한다.
서 센터장은 “IP 기반 인터넷에서 ID 기반 인터넷으로 전환하면 해킹과 위변조 등에서 자유로워진다”라며 “ID 기반 인터넷 기술 개발은 지난 6월 마쳤으며 현재 시범 서비스를 진행하고 있다”고 전했다.
KT는 블록체인 시장이 2022년 1조원까지 확대한다고 예상했다. KT는 에너지 거래, 지역화폐 등의 사업 기회를 타진하고 있다.
문정용 KT 블록체인사업화테스크포스(TF)장은 “60여개 지방자치단체가 지역화폐를 도입해 활용하고 있다. 이들에게 블록체인 지역화폐를 제안해 협의를 하고 있다”라며 “콘텐츠 유통과정 투명화를 위해 KT가 운영하는 웹소설 플랫폼 ‘블라이스’에도 블록체인을 적용했다”고 얘기했다.
이미향 KT 융합사업추진담당은 “전력 거래소에 블록체인을 도입하면 1개월 단위 정산 기간을 10분 단위로 줄일 수 있다. 관련 법 시행령이 확정하면 사업화를 할 예정”이라며 “에너지DR(Demand Response)과 전기차 충전 쪽도 살피고 있다”라고 말했다.
한편 KT는 블록체인 플랫폼을 다른 업체와 공유할 방침이다. 블록체인 실증센터를 서울 서초구 KT연구개발센터에 설치했다.
문 TF장은 “KT 블록체인 서비스는 두 방향으로 이뤄질 것‘이라며 ”플랫폼 위에 KT 서비스가 들어가는 형태와 협력사 서비스가 들어가는 형태“라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