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데일리 이형두기자] 6월부터 포괄임금제를 폐지한 위메프가 유의미한 성과를 냈다. 야근은 절반 수준으로 줄어들고 급여는 평균 약 5만원 늘어나는 효과를 봤다.
위메프(대표 박은상)은 6월 전체 임직원의 근무시간 및 급여 내용을 분석한 결과, 1인당 평균 초과근무시간이 지난 5월 9.82시간에서 5.46시간으로 44.4% 감소했다고 10일 밝혔다.
6월 위메프 임직원의 주당 근무시간은 41.27시간으로 나타났다. 이달부터 시행된 ‘주52시간 근무제’ 한도시간을 10시간 이상 밑돈다. 포괄임금제 폐지 목표로 주 40시간 근무 정착을 꼽은 위메프는 향후 근무시간 축소 효과가 더욱 늘어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초과근무자에 대한 추가수당도 늘어났다. 지난 5월 임직원 1인당 2만5432원이었던 초과수당이 6월 7만5468원으로 296.7% 증가했다.
위메프는 포괄임금제 운영 당시 기 산정, 지급해온 초과근로수당을 6월부터 모두 기본급에 더했다. 포괄임금제가 폐지로 수당이 추가로 지급되면서 임직원 평균 월 급여가 5만원 올라간 셈이 됐다.
위메프 한 직원은 ““포괄임금제 폐지 이전에는 업무상황으로 인해 야근을 해도 금전적 보상이 거의 없었지만 6월 급여에 추가 수당이 들어와 일한 만큼 보상받은 기분”이라며 “칼퇴근 문화도 정착되면서 눈치를 보지 않고 퇴근할 수 있는 분위기도 만족스럽다”고 전했다.
이와 더불어 6월에는 재량휴가 제도도 신설했다. 주 40시간 이상 근무자들이 연차 소진 없는 반차를 사용해 추가근무를 대체하도록 했다. 근무시간 축소로 인한 업무량 증대 부담을 덜기 위해 인력도 충원했다. 지난해 말 1485명이었던 직원수는 6웖 말 기준 1674명으로 12.7% 증가했다. 3분기 신입사원 채용 규모도 50명에서 82명으로 늘렸다.
위메프 하홍열 경영지원실장은 “포괄임금제 폐지로 인해 급여비용 상승 등 재무적인 부담이 다소 있지만 업무만족도와 효율성 증대 등 긍정적인 효과가 더 크다”며 “더 좋은 인재들이 최고의 역량을 펼칠 수 있는 업무환경을 만들어나가겠다”고 말했다.
<이형두 기자>dudu@ddaly.co.kr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6G 상용화 이전 'AI 네트워크 구현' 위한 지원 필요”
2025-04-17 20:30:56티캐스트, 콘텐츠 자체제작 중단…“제작팀 해체 등 비상경영체제 돌입”
2025-04-17 18:04:05[IT클로즈업]‘미키17’로 재점화된 영화계 홀드백 문제...레거시의 단순 몽니일까?
2025-04-17 15:04:48CJ메조미디어, 디지털광고 특화 AI 어시스턴트 ‘앤써’ 출시
2025-04-17 10:40:40뉴 아이디, 현대자동차와 차량 내 FAST 서비스 출시
2025-04-17 10:23:24"공개일 유출 의혹에 미정이라더니"…디즈니+, '나인퍼즐' 5월21일 공개
2025-04-17 18:06:10무신사, 창립 첫 비상경영 돌입…"1분기 실적 내부 목표 미달"
2025-04-17 17:21:46민주당 게임특위, “등급분류 전면 개편·질병코드 대응 강화”
2025-04-17 17:20:29[DD퇴근길] '지브리' 프사로 도배될까…오픈AI, 차세대 SNS 개발 착수
2025-04-17 17:15:44강유정 의원 “게임 과몰입보다 저몰입이 문제… 유저 목소리, 대선 공약 적극 반영”
2025-04-17 16:14: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