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입 예정 금액의 절반 이하로 가격을 낮춰 입찰하는 통에 네트워크 장비 업계는 “화웨이가 들어오면 당해낼 수가 없다”고 입을 모은다.
그런데 문제는 이후 화웨이측이 유지보수, 기술지원료 명목으로 가격을 올려받기 때문에 결국 ‘조삼모사’라는 점이다.
이와 동시에 화웨이 장비가 중국 정부의 정보수집 통로로 이용될 수 있다는 우려가 국내에서도 제기되기 시작했다. 앞서 미국 정부는 화웨이 장비를 금지하고 있으며, 미 상원에서도 관련 법안이 발의된 상태다.
실제 지난해와 올해 서울교통공사(서울메트로)가 발주한 ‘1~4호선 광전송망 개량사업’과 ‘7~8호선 광대역통신망 구매설치사업’은 모두 화웨이가 차지했다. 지하철 전송망과 같은 국가 기간설비에 중국산 제품 설치가 이어지면서 보안 우려도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지난해 진행된 1~4호선 광전송망 개량사업의 경우, 화웨이 장비를 제안한 현대정보기술이 사업을 수주했다.
조달청 국가종합전자조달시스템(나라장터)에 따르면 당시 현대정보기술이 제시한 금액은 69억7995만원으로 투찰율은 45.147%에 불과했다. 전체 사업 금액이 약 154억원임을 감안하면 절반 이하의 가격에 들어온 셈이다. 설치비와 공사비 등을 제외하면 화웨이 장비값은 40억원 이하로 추측된다.
현대정보기술에 이어 2위를 차지한 씨스존 역시 화웨이 장비를 제안했다. 씨스존이 제안한 가격은 82억5000만원으로 투찰율은 53.362%에 불과했다. 4위를 기록한 노키아와는 21억원, 국산통신장비업체인 우리넷과는 30억원 가까이나 차이난다.
올해 진행된 ‘7~8호선 광대역통신망 구매설치사업’에서도 화웨이 장비를 제안한 씨스존이 사업을 수주했다. 씨스존이 제안한 가격은 38억9200만원으로 투찰률은 54.145%에 불과했다.
한 네트워크장비업체 관계자는 “화웨이가 가격체계를 완전히 무너뜨리고 있다”며 “특히 국산업체의 반값 이하로 투찰하면서 생태계를 죽이고 있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국가 인프라에 보안 이슈가 있는 제품을 도입하는 것은 향후 국가 차원의 안보문제로까지 확대될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서울교통공사는 앞으로 ‘5호선 LTE-R’ 사업도 추진할 계획이다. 앞선 사업과 마찬가지로 가격싸움이 재연된다면 화웨이 독식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화웨이는 네트워크 장비 이외에 서버, 스토리지 시장에서도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다. KBS와 광주시청, 은평구청 등에 화웨이의 스토리지 제품이 공급됐으며, 지난해 하반기 네이버는 화웨이 서버 수천대를 도입하며 논란이 커진 바 있다.
<백지영 기자>jyp@ddaily.co.kr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진짜 ‘5G 가입자’ 몇명일까…정부, 가입자 집계 기준 변경 검토
2025-02-24 16:33:20[MWC25] SKT, 'K-AI 얼라이언스' 7개사 글로벌 진출 지원
2025-02-24 10:17:42"스터디그룹·선의의 경쟁 봤지?"…와이랩, 이제는 '넷플릭스'다
2025-02-23 16:48:11통신3사, MWC25서 'AI 각축전' 예고…유상임 장관 깜짝 회동할까
2025-02-23 14:57:14[OTT레이더] 인생을 건 머니게임이 시작됐다, 웨이브 ‘보물섬’
2025-02-23 12:04:50[인터뷰]“밤 9시까지 AI 열정!”...’KT에이블스쿨 전형’이 신설된 이유는?
2025-02-23 09:00:00"카톡 선물·야놀자 예약, AI가 한다"…오픈AI, '오퍼레이터' 국내 첫 도입
2025-02-24 14:00:37"3D 아바타 만나는 가상도시"…마와리, AI·XR 더한 '난바 프로젝트' 가동
2025-02-24 11:35:40넥슨 ‘던전앤파이터’, 중천으로 재도약… 바통은 ‘카잔’으로
2025-02-24 11:30:05"KTX 타면서 렌터카까지"…쏘카, 장거리 이동 트렌드 제시
2025-02-24 10:26:32데브시스터즈 ‘쿠키런: 브레이버스’, 7월11일 미국 출시
2025-02-24 10:19:17넥슨 ‘FC 온라인’, 이스포츠 대회 개편안 발표… 구단 프랜차이즈 도입
2025-02-24 09:29: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