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데일리 최민지 기자] SK인포섹(www.skinfosec.com 대표 한범식)은 아마존웹서비스(AWS) 마켓플레이스에 웹 보안 솔루션 ‘안티웹쉘(Anti-Webshell)’ ‘엠디에스(MDS)’ 등록을 마치고 본격 서비스에 나선다고 22일 밝혔다. SK인포섹은 이를 시작으로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형 보안(SECaaS) 사업을 확대할 계획이다.
양 솔루션은 웹쉘 공격, 웹 악성코드 삽입 등 웹 서버 해킹 공격을 탐지하는 솔루션이다. 웹쉘은 웹 프로그래밍 언어로 이뤄진 스크립트 파일로, 웹 서버 취약점을 이용해 시스템에 업로드 시킨 후 악의적인 목적으로 원격제어를 통해 시스템을 통제할 때 자주 사용되고 있다.
SK인포섹은 2종의 솔루션과 함께 자체 보안운영이 어려운 고객을 위해 SK인포섹의 관제서비스를 제공키로 했다. AWS 이용 고객들은 AWS 마켓플레이스 사이트에서 원하는 서비스 형태를 선택해 월 과금 방식으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안티웹쉘은 웹페이지를 구성하는 콘텐츠의 웹 스크립트인 웹쉘을 분석해 악성행위를 일으키게 하는 프로그래밍 소스코드를 탐지한다. 정확한 분석을 위해 악성 스크립트 파일로 분류된 약 400여개의 패턴이 적용돼 있으며, 난독화된 스크립트 파일에 대해서도 분석 가능하다.
SK인포섹 관계자는 “웹쉘은 악성코드와 달리 정상적인 프로그래밍 파일로 위장하기 때문에 방화벽 등 기존 보안 시스템으로 탐지하기 어렵다”며 “웹쉘 공격은 웹 서버 관리자 권한 탈취까지 가능해 정보 유출의 위험도가 높아 보안 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웹 악성코드 탐지 솔루션인 MDS는 웹 페이지를 통해 악성코드를 유포하거나 경유 사이트로 악용하는 것을 사전에 탐지한다. 메인 웹 페이지 도메인(URL)을 기준으로 하위 세 단계의 연결 페이지까지 분석해 악성코드 삽입 여부를 가려낸다.
조봉찬 관제사업부문장은 “AWS 등 클라우드 사업자들 역시 이용 고객들에게 웹 보안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며 “게임, 포털 등 웹 서비스 기반의 사업을 하는 기업들을 중심으로 사업에 나설 것”이라고 전했다.
<최민지 기자>cmj@ddaily.co.kr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컨콜] 무난한 성적 받은 홍범식號 LGU+…키워드는 ‘익시오·파주 AIDC’ (종합)
2025-05-08 17:27:10[DD퇴근길] 다시 뛰는 카카오?…AI·카톡 슈퍼앱, '쌍끌이 전략' 통할까
2025-05-08 16:53:33과방위 “통신3사 모두 불러 보안 현안질의할 것”...‘SKT 유출사태TF’ 가동
2025-05-08 16:53:19유영상 SKT 대표, “위약금 면제 시 약 2500억원 손실 추정… 종합검토”
2025-05-08 16:11:42[컨콜] SKT 해킹 여파 속 LGU+ "모든 서버 전수검사…특이사항 없어"
2025-05-08 16:06:43SKT 보안체계, 'LTE→5G' 넘어왔나…IMSI 암호화의 진실 [IT클로즈업]
2025-05-08 15:16:56'어닝쇼크' CJ ENM, "IP 비즈니스로 수익성 높일 것"
2025-05-08 17:26:05‘추억의 게임’으로 부활한 넷마블, 연내 신작 8종 출시로 시장 기대↑(종합)
2025-05-08 17:06:18티맵, 법인 대리 '굿서비스' 매각…AI 모빌리티 기업 도약 가속화
2025-05-08 17:05:14[DD퇴근길] 다시 뛰는 카카오?…AI·카톡 슈퍼앱, '쌍끌이 전략' 통할까
2025-05-08 16:53:33넷마블, 올 1분기 영업익 497억원…전년비 1243.2%↑
2025-05-08 16:11:53콘텐츠 매출 16%↓…카카오, 실적 부진 속 ‘선택과 집중’ 본격화 (종합)
2025-05-08 16:03: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