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데일리 채수웅기자]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양희)는 사물인터넷(IoT) 신산업 창출 및 서비스 활성화를 위해 900㎒ 대역(917~923.5㎒) 출력 기준을 기존 10㎽에서 최대 200㎽로 상향하는 기술기준 개정안 행정예고를 실시했다. 900㎒ 대역은 IoT 분야에서 전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는 주파수다.
900㎒ 대역은 그간 우수한 전파특성에도 불구하고 출력제한으로 RFID, Z-wave(홈 IoT용) 등 주로 근거리용 서비스에 이용됐다. 하지만 이번 출력기준 상향으로 저전력 장거리 서비스와 같은 새로운 형태의 IoT 전용 전국망 구축 기반을 마련할 수 있게 됐다.
이에 따라 국내에서도 독자 기술개발 및 해외기술 제휴 등을 통해 IoT 전용 전국망이 구축돼 다양한 서비스가 제공 될 것으로 예상된다.
예를 들어, IoT 전용망 구축시 기존 10㎽ 출력으로 100개의 기지국이 필요했다면, 출력을 200㎽로 상향하면 27개 기지국으로 서비스가 가능해 약 70%의 설치 비용이 감소된다. 미터링(수도·전기·가스 등 무인 측정)이나 위치 트래킹(미아 및 애완견 찾기, 물류 관리), 모니터링 및 컨트롤(주차, 가로등 및 폐기물 관리) 등의 IoT 서비스가 센서․단말기의 배터리 교체 없이 5년 이상 이용이 가능해 진다.
전성배 미래부 전파정책국장은 “이번 IoT 주파수 출력 상향은 신산업 규제 완화를 통해 국내 기업의 투자를 촉진 시켜 IoT 신산업 창출 및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며 “이번 기술기준 개정 외에도 IoT 기술 추세를 반영해 관련 전파법 규정의 개선과 신규 서비스 확대에 따른 트래픽 수요에 필요한 주파수 추가 발굴도 지속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채수웅 기자>woong@ddaily.co.kr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현모 “응용AI 만이 살 길”…우수사례로 ‘LG AI 연구원’ 언급
2025-05-14 15:39:20갤S25 엣지 공시지원금, 최대 25만원…KT가 제일 많아
2025-05-14 15:33:20민주당 방송·콘텐츠특별위, 지역·중소방송 정책과제 논의한다
2025-05-14 15:12:20SKT, 취약계층 방문 서비스 다음주부터 시작…"유통망 소통체계 강화"
2025-05-14 11:11:42KT, AI로 보안서비스 강화 “디도스 막고, 피싱메일 탐지”
2025-05-14 10:11:08SKT 해킹 피해…SK그룹, '정보보호혁신특별위원회' 신설
2025-05-14 09:16:37민주당 게임특위, 게임사 노조와 간담회 개최…“노동환경 개선 과제 논의”
2025-05-14 15:31:53위메이드 박관호 "차기 정부선 블록체인 육성정책 기대" (컨콜 종합)
2025-05-14 15:12:52월 방문 1000만 사이트도 항복…카카오엔터, 자체 기술로 불법웹툰 막는다
2025-05-14 13:49:12VFS–소니 픽소몬도, 가상 프로덕션 전문가 양성 맞손
2025-05-14 11:04:27“아이온2, 리니지 라이크와는 달라”…엔씨가 내년 매출 목표 내세운 이유(종합)
2025-05-14 10:5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