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데일리 채수웅기자] 이동통신 업계와 방송통신위원회가 이번 주 주말 상황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지난 19일 예약판매를 통해 변함없는 브랜드 파워를 자랑했던 아이폰6S가 23일(금요일)부터 본격적인 출시에 돌입하기 때문이다.
아이폰6 대란으로 명명된 이날의 사건은 이동통신 보조금 경쟁의 대표적인 폐해로 각인됐다. 오죽하면 대통령까지 “스마트폰을 사려고 추운 새벽에 줄을 서는 일이 계속되면 안된다”고 말했을까.
아이폰 대란이 발생한 지 1년이 지났지만 또 한 번 아이폰발 대란 가능성은 높아만 지고 있다. 공교롭게도 상황은 1년 전과 유사하다. 이미 이통사들은 모두 비상대기 중이다.
한 이통사 관계자는 “토요일 오후부터 터지지 않겠느냐”며 “누가 될지 모르겠지만 누군가는 뛰쳐나갈 것이고 남은 둘은 같이 뛰어갈 수 밖에 없는 상황이 또 다시 반복될까 우려스럽다”고 말했다.
재미있는 점은 이통3사 모두 이런 상황을 바라지 않는다는 것이다. 조금씩 보조금을 올려 대응하다가 어느 순간 걷잡을 수 없는 상황이 온다는 것을 모두가 알고 있기 때문이다.
결국, 방통위의 시장관리 및 사후처리 능력도 다시 한 번 검증대에 오를 전망이다.
방통위는 지난해와 같은 일이 벌어질까 우려해 이통사들에 아이폰6S플러스 예약판매 일정을 사흘 뒤로 미룰 것을 요청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아이폰6S에 대한 뜨거운 관심을 낮춰보겠다는 생각이지만 방통위 생각대로 시장이 흘러갈지는 미지수다. 물론, 조용히 지나갈 가능성도 존재한다.
어떤 경우의 수가 발생하던 방통위는 아이폰6S를 중심으로 발생할 유통시장 변화 가능성에 대해 능동적으로 대처해야 한다. 사전적으로는 시장혼란에 대한 책임을 묻겠다는 강력한 경고가 필요하고 이후 발생한 위법행위에 대해서는 실제 엄중한 처분을 내려야 한다. 과징금, 영업정지가 예상되는데도 위법행위를 한다면 처벌이 솜방망이기 때문이다.
전체 번호이동 규모가 적더라도 특정 이통사만 위법행위를 했다면 이 역시 문제다. 그동안 방통위는 시장과열 지표로 하루 번호이동 2만5000건을 삼았다. 단말기유통법 시행 이후 시장 자체가 축소됐다는 점을 감안해 상황에 맞는 시장조사와 처분이 필요하다. 전체 번호이동 규모로 시장과열을 따질 것이 아니라 실제 발생한 위법행위에 대해 해당 이통사와 유통점에 대한 엄중한 처분이 내려져야 한다.
<채수웅 기자>woong@ddaily.co.kr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예측 어려운 주파수 재할당대가, 사업자 투자에 영향 미칠수도”
2025-05-14 18:06:22[DD퇴근길] 결단 내린 이재용…삼성, 獨 플랙트 2.3조 인수
2025-05-14 17:19:07“먹방은 방발기금 왜 안 내나…뒤바뀐 방송환경, 부과대상 넓혀야”
2025-05-14 17:16:50KT알파, 올 1분기 호실적…T커머스·모바일상품권 성장으로 수익성 개선
2025-05-14 16:11:11구현모 “응용AI 만이 살 길”…우수사례로 ‘LG AI 연구원’ 언급
2025-05-14 15:39:20갤S25 엣지 공시지원금, 최대 25만원…KT가 제일 많아
2025-05-14 15:33:20크래프톤, '어비스 오브 던전' 동남아·중남미에 6월 출시
2025-05-14 18:04:46"사진 한 장이면 영상 뚝딱"…틱톡, AI 얼라이브 기능 출시
2025-05-14 17:59:42"검은사막 6주년 기념"…펄어비스, '530 페스티벌' 시작
2025-05-14 17:34:05"이제 숏폼도 순차 재생"…카카오표 '다음 루프' 통할까 [IT클로즈업]
2025-05-14 17:19:25[DD퇴근길] 결단 내린 이재용…삼성, 獨 플랙트 2.3조 인수
2025-05-14 17:19: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