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을 포함해 미국, 일본 등 전 세계 국내총생산(GDP) 70%를 차지하는 13개국 이용자를 대상으로 모바일 인터넷의 ‘소비자 잉여’를 조사하는 과정에서 100명 중 14명이 돈을 얼마든지 주더라도 ‘모바일 인터넷’을 포기하지 않겠다고 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 잉여란 소비자들이 기기, 앱, 서비스 등에 대해 지불한 것 이상으로 얻은 가치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서비스 가격이 10만원이지만 실제 8만원을 주고 구매했다면 소비자 잉여는 2만원이다.
이에 대해 BCG의 최인혁 파트너<사진>는 “이용자들이 모바일 인터넷을 생필품으로 보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국내의 경우 13개국 평균보다 소비자 잉여가 4400달러(약 488만원) 정도로 높게 나왔다. 한국인의 75% 정도가 모바일 인터넷 이용을 포기하느니 신문, 초콜릿, 패스트푸드를 포기하겠다고 응답했으며 60% 정도는 술과 커피를, 20%는 샤워를 포기하겠다고 답했다.
이처럼 비용 대비 가치가 7배 가까이 나타난 경우는 여타 산업군에선 전무하다. 최 파트너는 “다른 산업에선 일반적으로 소비자 잉여가 2배를 넘는 경우가 잘 없다”며 “7배는 가장 높게 나타난 경우라고 보면 될 것”이라고 전했다.
향후 모바일 인터넷 발전상에 대해선 스마트폰이 계속 진화해 슈퍼 가젯(도구)으로 성장함과 동시에 10여개의 웨어러블(입는) 기기와 사물인터넷(IoT) 기기로 분산돼 다양한 생태계가 만들어질 것으로 전망됐다.
최 파트너는 “스마트폰 폼팩터가 웨어러블, IoT(사물인터넷) 디바이스로 분산돼 이 시장을 벤처가 주도할 가능성이 크다”며 “창업 활성화와 벤처 간 콜라보레이션(협업) 체계를 잘 만들 것이냐 정부가 규제를 잘 풀어줄 것이냐 부분을 앞으로 고민해야 될 것”이라고 조언했다.
<이대호 기자>ldhdd@ddaily.co.kr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DD퇴근길] 지브리 프사로 촉발된 'AI 저작권'…"법·정책 논의 필요해"
2025-05-20 17:15:02"JTBC 중계권 입찰 문제없다"…법원, 지상파 3사 가처분 기각
2025-05-20 16:47:18우주청, 위성정보활용협의체 실무자 교육…"공공서비스 적용 확대"
2025-05-20 16:08:37[NSIS 2025] SKT 해킹 충격…과기정통부, "새로운 정보보호체계 마련"
2025-05-20 15:37:44[NSIS 2025] SKB "양자기술 이용한 공격? 양자로 막는다"
2025-05-20 15:17:26크래프톤, 110억원 기부로 카이스트에 교육·연구 공간 건립
2025-05-20 18:15:20"폭싹 속았수다도 참여했는데"…韓 VFX 상장사, '적자 늪' 여전
2025-05-20 17:40:14카카오엔터 장윤중 공동대표, 빌보드 '2025 글로벌 파워 플레이어스' 선정
2025-05-20 17:15:13게임위, '발라트로' 등급 재결정…'청불'서 '15세 이용가'로
2025-05-20 16:41:29[NSIS 2025] 세일포인트 "보안의 중심은 이제 '아이덴티티'…권한 기반 보안 강조
2025-05-20 15:49:13‘크리에이터 전성시대’…1인 콘텐츠 넘어 이제는 플랫폼이 키운다
2025-05-20 15:31: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