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일 시장조사업체 마크로밀엠브레인의 트렌드모니터(trendmonitor.co.kr)는 전국 만 19~59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인터넷 콘텐츠 다운로드 관련 설문조사(2014년 5월 20일~26일)를 실시한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소비자 2명 중 1명(50%)만이 인터넷 콘텐츠 유료 이용에 동의했다. 트렌드모니터 측은 이를 통해 ‘콘텐츠는 무료’라는 인식이 적지 않게 남아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는 설명이다. 특히 50대에게선 콘텐츠 유료 이용에 동의하냐는 질문에 잘 모르겠다고 답하거나 동의하지 않는다고 답한 비중이 56.8%로 연령대 가운데 가장 높게 나타났다. 모든 콘텐츠를 무료로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소비자는 28.3%로 조사됐으며 돈을 주고 콘텐츠를 구입하는 것이 바보 같은 행동이라고 보는 시각은 10명 중 1명 꼴(11.2%)로 나타났다.
또 1000명 중 절반 이상(52.1%)은 인터넷 특성상 ‘콘텐츠를 다운받고’ ‘파일 공유’하는 것은 어쩔 수 없다고 봤으며 이에 대한 비동의 의견은 10.7%로 파악됐다. 인터넷 특성상 타인과의 콘텐츠 공유를 막을 수 없다는 데도 61.3%가 동의했다.
또한 현재 유료로 제공되는 콘텐츠 가격이 저렴한 편이라는 인식이 전체 14.3%에 불과했다. 트렌드모니터 측은 콘텐츠 가격에 대한 불만도 유료 구매에 대한 거부감으로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했다. 콘텐츠의 질만 좋다면 제 돈을 다 내고 이용할 의향이 있다는 응답은 61.6%에 이르러 기존 콘텐츠 품질에 대한 불만도 상당수인 것으로 조사됐다.
인터넷 콘텐츠 다운로드 경험자 중엔 81.6%가 돈을 지불하고 ‘유료 컨텐츠’를 구입한 경험을 가지고 있었다. 젊은 층일수록 유료 콘텐츠 구입경험이 좀 더 많은 경향(20대 85%, 30대 85.9%, 40대 78.1%, 50대 73.7%)을 보였다. 무료로 이용할 수 있는 환경임에도 인터넷에서 유료 콘텐츠를 구입했던 가장 큰 이유는 유료로 구매해야만 구할 수 있는 콘텐츠라는 점(60.5%, 중복응답)이 가장 크게 작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 돈을 주고 구입하는 것이 마음이 편하고(38.6%), 무료로 제공되는 콘텐츠를 일일이 찾는 것이 귀찮아서(36.9%) 유료 결제를 한다는 의견도 많았다. 유료 콘텐츠 구입의 또 다른 이유로는 합법적인 다운로드라는 생각이 들고(36.2%), 무료 콘텐츠는 왠지 악성코드가 있을 것 같은 불안감이 든다(32.1%)는 점을 많이 꼽았다.
조사대상 중 62.1%는 불법 다운로드 및 파일공유가 콘텐츠 생산자의 창작의욕을 떨어뜨릴 것이라는데 동의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와 함께 비합법적인 경로로 콘텐츠를 다운로드 받으면 괜히 양심에 찔린다는 의견(53%)이 절반을 넘을 만큼 콘텐츠 불법 유통의 문제점에 대해서는 대체로 공감하는 편이었다.
불법적인 다운로드와 파일공유를 근절하기 위한 방안으로는 ‘콘텐츠 가격 인하’(79.5%, 중복응답)와 ‘인식 전환’ 정책(68.5%) 시행 의견이 많았다. 그밖에 콘텐츠 질적 향상(53.5%), 불법 다운로드 방지 프로그램 개발 및 유포(35.2%), 처벌 규정 강화(23.2%) 등을 꼽는 의견이 뒤를 이었다.
<이대호 기자>ldhdd@ddaily.co.kr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먹방은 방발기금 왜 안 내나…뒤바뀐 방송환경, 부과대상 넓혀야”
2025-05-14 17:16:50KT알파, 올 1분기 호실적…T커머스·모바일상품권 성장으로 수익성 개선
2025-05-14 16:11:11구현모 “응용AI 만이 살 길”…우수사례로 ‘LG AI 연구원’ 언급
2025-05-14 15:39:20갤S25 엣지 공시지원금, 최대 25만원…KT가 제일 많아
2025-05-14 15:33:20민주당 방송·콘텐츠특별위, 지역·중소방송 정책과제 논의한다
2025-05-14 15:12:20SKT, 취약계층 방문 서비스 다음주부터 시작…"유통망 소통체계 강화"
2025-05-14 11:11:42[버추얼이 간다②] 버추얼이 인간 앞선다..."K-팝·인방계도 접수 완료"
2025-05-14 16:32:39민주당 게임특위, 게임사 노조와 간담회 개최…“노동환경 개선 과제 논의”
2025-05-14 15:31:53위메이드 박관호 "차기 정부선 블록체인 육성정책 기대" (컨콜 종합)
2025-05-14 15:12:52월 방문 1000만 사이트도 항복…카카오엔터, 자체 기술로 불법웹툰 막는다
2025-05-14 13:49: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