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무선

돌고도는 황금 주파수…1.8GHz 지나면 900MHz?

[디지털데일리 채수웅기자] 이동통신 3사의 주파수 경쟁이 뜨겁다. 주파수는 이동통신의 품질과 비용을 결정하는 요소다. 주파수마다 특성이 다르고 비용 효율적인 주파수가 있다. 다른 국가, 통신사들이 많이 사용하면 훨씬 유리하다. 이 같은 조건들을 충족시키는 주파수를 흔히 '황금 주파수'라고 부른다.

음성통화 중심인 2G 시대에서는 800MHz가 황금 주파수였다. 800MHz 주파수는 전파 도달거리나 회절성이 PCS 주파수 대역인 1.8GHz에 비해 월등히 뛰어나다. 지하나 산악공간에서도 통화 성공률이 높다. 물론 투자비 측면에서도 훨씬 유리하다.

고주파수인 1.8GHz은 저대역 주파수에 비해 전송 가능한 정보를 많이 실을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직진성, 낮은 회절률 때문에 전파 도달거리가 짧다. 그래서 800MHz와 같은 효과를 내려면 훨씬 더 많은 기지국이 필요하다. 음성통화 중심인 2G 시대에서는 1.8GHz가 800MHz를 따라잡을 수 없었다.

800MHz는 SK텔레콤과 신세기이동통신이 사용했지만 SKT가 신세기를 합병하면서 독점으로 사용했다. 이에 대해 KT와 LG유플러스가 꾸준히 문제제기를 하면서 2010년 KT와 LG유플러스도 800~900MHz 저대역 주파수를 확보할 수 있게 됐다.

3G 시대에 들어서는 2.1GHz 대역이 황금 주파수가 됐다. 무엇보다 많은 이동통신사가 사용한다는 점이 강점이었다. 전세계 공통대역이기 때문에 단말기 수급, 로밍에도 유리했다. 그래서 2.1GHz 주파수가 없는 LG유플러스는 3G 시대에서 고전을 면치 못했다. 아이폰을 비롯한 글로벌 단말기 제조사의 제품을 수급할 수 없었다. LG유플러스가 4G LTE에 사활을 건 이유도 이 같은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였다.

2.1GHz의 전성시대는 그렇게 오래 가지 않았다. LTE 시대에서는 2G 시대 찬밥이었던 1.8GHz가 황금 주파수로 각광받고 있다. 전세계에서 LTE 대역으로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다. 최근 주파수 광대역화를 노리는 KT와 이를 저지하기 위한 SKT-LGU+의 대결로 1.8GHz의 가치는 천정부지로 뛰고 있다.

반면 2G 시대 각광을 받았던 저 대역 주파수 900MHz는 LTE 시대 아예 찬밥신세가 됐다. 저대역 주파수의 효율성에도 불구, LTE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가 없다. 국내에서는 RFID 등의 혼간섭 문제 때문에 상용화 일정도 불투명하다.

결과적으로 KT는 1.8GHz와 900MHz를 맞바꾼 셈인데 아쉬움은 배가 되고 있다. 하지만 몇 년 후면 900MHz가 다시 황금주파수 자리에 오를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900MHz는 유럽에서 많이 사용되는 주파수다. 160개국이 사용한다. 800MHz보다 훨씬 많은 규모다.

황금주파수는 통신서비스 특성, 이용국가, 광대역 등의 이슈에 따라 세대별로 변화하고 있다. 지금은 1.8GHz가 황금주파수 자리를 차지하고 있지만 전세계 이통사들의 2G 서비스 종료 이후 LTE 대역으로 활용될 가능성이 높다. 지금은 900MHz가 찬밥신세지만 몇 년 후에는 황금주파수 자리에 오를 수 있다. 

<채수웅 기자>woong@ddaily.co.kr
디지털데일리 네이버 메인추가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