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데일리 백지영기자] 미래창조과학부(이하 미래부)의 공식 출범에 따라 국내 클라우드 컴퓨팅 관련 협단체도 한지붕 아래 모이게 됐다.
그동안 클라우드 컴퓨팅은 방통통신위원회와 안전행정부(옛 행정안전부), 산업자원통상부(옛 지식경제부) 등 세개 부처가 각자 역할을 맡아 주도해 왔다. 방통위는 법‧제도 정비 등을 통한 클라우드 산업 활성화, 안행부가 정부통합전산센터를 중심으로 한 공공 분야 클라우드를, 지경부는 연구개발(R&D) 등을 담당해 왔다.
이러한 상황이다 보니 각 부처에 소속된 클라우드 관련 협단체가 계속해서 생겨나면서 기능상 중복되는 부분이 많다는 지적이 계속돼 왔다.
현재 활동 중인 클라우드 유관 단체로는 한국클라우드서비스협회, 한국클라우드센트럴파크(구 클라우드컴퓨팅산업포럼), 한국클라우드컴퓨팅연구조합 등이 있다.
3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이들 협단체는 이미 미래부로 이관됐거나 이관을 준비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우선 방통위 산하의 한국클라우드서비스협회의 경우 방통‧통신 진흥기능이 미래부로 이관됨에 따라 이미 소속이 변경됐다.
또한 산업통상자원부 산하의 한국클라우드컴퓨팅연구조합 역시 최근 연구조합협의회 회의 결과 미래부로의 이관이 확정됐으며, 이달 초 한국클라우드산업포럼에서 명칭을 바꿔 재출범한한국클라우드센트럴파크 역시 미래부와의 이관을 논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밖에 클라우드 컴퓨팅 지원센터, 클라우드데이터센터협의회 등 협단체들에도 미래부로의 이관 작업에 대한 논의가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한 업계 관계자는 “그동안 대부분의 협단체들이 활동 목적이나 기능 등에서 유사한 부분이 적지 않았던 만큼, 미래부로 이관이 완료되면 통합에 대한 목소리도 높아질 것”이라며 “또한 현재 클라우드 사업에 관려하는 대다수의 IT업체들이 이들 기관에 중복 가입, 활동하고 있어 부담이 컸던 것이 사실”이라고 말했다.
그는 “특히 ‘클라우드 컴퓨팅 발전 및 이용자 보호에 관한 법률’ 등 기존에 정부가 추진 중이던 정책도 미래부로의 업무 이관이 완료되면 탄력을 받을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백지영 기자>jyp@ddaily.co.kr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KT알파, 올 1분기 호실적…T커머스·모바일상품권 성장으로 수익성 개선
2025-05-14 16:11:11구현모 “응용AI 만이 살 길”…우수사례로 ‘LG AI 연구원’ 언급
2025-05-14 15:39:20갤S25 엣지 공시지원금, 최대 25만원…KT가 제일 많아
2025-05-14 15:33:20민주당 방송·콘텐츠특별위, 지역·중소방송 정책과제 논의한다
2025-05-14 15:12:20SKT, 취약계층 방문 서비스 다음주부터 시작…"유통망 소통체계 강화"
2025-05-14 11:11:42KT, AI로 보안서비스 강화 “디도스 막고, 피싱메일 탐지”
2025-05-14 10:11:08[버추얼이 간다②] 버추얼이 인간 앞선다..."K-팝·인방계도 접수 완료"
2025-05-14 16:32:39민주당 게임특위, 게임사 노조와 간담회 개최…“노동환경 개선 과제 논의”
2025-05-14 15:31:53위메이드 박관호 "차기 정부선 블록체인 육성정책 기대" (컨콜 종합)
2025-05-14 15:12:52월 방문 1000만 사이트도 항복…카카오엔터, 자체 기술로 불법웹툰 막는다
2025-05-14 13:49:12VFS–소니 픽소몬도, 가상 프로덕션 전문가 양성 맞손
2025-05-14 11:04: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