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클라우드 솔루션

MS, 데스크톱 가상화 라이선스 ‘톺아보기’

최근 국내 기업에 데스크톱 가상화 열풍이 불고 있다. 특히 VDI(Virtual Desktop Infrastructure)를 기반으로 한 데스크톱 가상화는 클라우드 컴퓨팅이라는 시대적 흐름과 맞물려 기업들이 앞다퉈 도입하고 있다.

포레스터 컨설팅이 지난 9월 한달 동안 전세계 546개 기업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도 향후 기업들이 가장 우선적으로 투자할 항목으로 나타났다. 노트북, 태블릿, 스마트폰 등 다양한 단말기를 사용하면서도 하나의 업무환경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VDI 기술이 가장 효율적인 것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그러나 VDI에 대한 시장의 요구는 커지고 있지만, 기업들은 자사 환경에 맞는 적당한 솔루션이 무엇인지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디지털데일리>는 국내 VDI 시장을 살펴보고, ▲VM웨어 ▲시트릭스 ▲마이크로소프트(MS) 등 이 분야 선도 기업들이 제시하고 있는 최신 VDI 전략 및 솔루션, 구축사례 등을 심층 분석한다.


시리즈 이전 기사
① 심상치 않은 ‘데스크톱 가상화’(VDI) 열풍… 기업들 “투자효과 만족”
② 국내 기업들은 왜 VDI를 도입하는가…다섯 가지의 이유
③ VDI 기술 어디까지 왔나…사용자 경험 등 문제점 해결
④ VM웨어 “포스트 PC시대…서비스 브로커 되겠다”

⑤ [VDI 베스트 솔루션] 클라이언트 한계가 없는 VM웨어 뷰5.0
⑥ 신한은행 “우리가 VDI 도입한 이유는…”

⑦ 시트릭스의 VDI 전략 “클라우드 풀 세트를 갖췄다”

⑧ [VDI 베스트 솔루션] 최고의 사용자 경험 ‘젠 데스크톱’

⑨ 보안∙스마트워크 두 마리 토끼 잡은 풀무원, 어떤 비결?

MS “윈도7+하이퍼V, 최적의 VDI 조합”

 

[기획/VDI시대 열렸다]   라이선스 기준은 '디바이스'

 
[디지털데일리 심재석기자]가상데스크톱환경(VDI)을 구현하면서 주의 깊게 살펴봐야 할 점은 마이크로소프트의 라이선스 정책이다. 기존에도 MS의 라이선스 정책은 다소 복잡한 편이었는데, VDI라는 새로운 환경에 맞는 정책을 MS가 고안하면서 조금 더 복잡해졌다. MS  라이선스 정책에 대한 이해 없이 무작정 VDI를 도입할 경우 적지 않은 혼란에 빠질 수도 있다.

◆윈도 라이선스 책정의 기준은 디바이스 개수

MS가 윈도 라이선스를 책정하는 단위는 ‘디바이스’이다. 10대의 PC가 있으면 라이선스 10개가 필요하고 PC가 100대 있다면 100개의 라이선스가 필요한 것이 원칙이다. 

윈도 운영체제 하나를 사서 사무실에 있는 모든 PC에 설치하면 안 된다는 것은 상식이다. 

이 같은 원칙은 VDI에도 이어진다. MS는 VDI 환경에서도 역시 디바이스를 기준으로 라이선스를 청구한다. 예를 들어 100명의 상용자가 100대의 씬클라이언트와 100대의 태블릿으로 가상 데스크톱에 접속한다면 200개의 라이선스가 필요하다. 사용하는 디바이스가 총 200대 이기 때문이다.

반대로 사용자가 아무리 많은 가상 윈도를 이용하더라도 디바이스가 적다면 디바이스 개수만큼만 라이선스 계약을 하면 된다. 예를 들어 300명의 직원이 100대의 씬클라이언트로 300개의 가상 데스크톱을 접속할 경우, 100개의 라이선스만 있으면 된다.

한국MS 서경구 이사는 “라이선스의 기준을 디바이스로 정하고 있는 것은 MS의 아주 오래된 원칙”이라고 말했다.

◆가상데스크톱접속(VDA)과 소프트웨어 어슈어런스(SA)

VDI에 사용되는 MS의 라이선스에는 VDA(Virtual Desktop Access)와 SA(Software Assurance)가 있다. 

SA는 원래 일종의 유지보수 계약이다. 윈도를 구매한 후 SA를 추가로 구매하면 소프트웨어 이외에 기술지원, 컨설팅 서비스, 교육 등을 받을 수 있다. MS는 여기에 가상 데스크톱을 이용할 수 있는 권리까지 포함시켰다. 기존에 SA 라이선스를 가지고 있는 기업은 추가비용 없이 가상PC를 구동할 수 있다. 

때문에 기존에 SA 계약을 맺고 있는 기업이 자신이 사용하던 PC로 가상 데스크톱에 접속한다면 추가 라이선스가 필요 없다. 

예를 들어 300명의 직원이 SA 계약이 돼 있는 100개의 PC를 통해 300개의 가상 데스크톱에 접속한다면, 추가적인 라이선스를 구매할 필요가 없다. SA에는 이미 가상 데스크톱 이용권한이 포함돼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SA는 PC를 기준으로 책정된 정책으로, 씬클라이언트나 태블릿PC로 가상 데스크톱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이런 디바이스에서 가상 데스크톱에 접속하려면 VDA라는 새로운 라이선스가 필요하다. 

VDA는 MS가 가상 데스크톱 환경을 위해 새롭게 고안해 낸 정책이다. PC가 아닌 다양한 디바이스에서 가상의 데스크톱을 이용하는 사례가 늘어났기 때문에 이에 맞는 정책을 새롭게 개발했다.

VDA는 씬클라이언트나 태블릿 등 비(比) PC를 통해 VDI에 접속할 때 적용된다. 예를 들어앞에서 언급된 사례처럼 100명의 직원이 100개의 씬클라이언트와 100개의 태블릿으로 가상 데스크톱에 접속할 경우 200개의 VDA를 구매해야 한다.

서 이사는 “MS는 데스크톱을 이용하는 환경이 다양해진만큼 다양한 라이선스 정책을 통해 기업들이 스마트워크를 구현할 수 있도로 지원한다”고 말했다.

<미니인터뷰> 마이크로소프트 서경구 이사
Q. VDI에 왜 새로운 라이선스 정책이 필요한가?

기존 윈도 라이선스 체계는 PC를 중심으로 설계된 것이다. VDI 환경에서는 PC 이외에 씬클라이언트, 태블릿, 스마트폰 등 다양한 디바이스가 업무에 활용되기 때문에 이에 맞는 새로운 라이선스가 체계가 필요해졌다.

Q. VDI의 특징은 다양한 디바이스로 업무용 가상 데스크톱에 접속할 수 있다는 점이다. 한 사람이 멀티 디바이스를 사용한다. 모든 가상 데스크톱에 접속하는 모든 디바이스가 라이선스가 필요하다면 개인 스마트폰으로 VDI에 접속하는 것은 라이선스 위반인가?

아니다. VDA 라이선스는 기업이 보유한 자산(디바이스)를 기준으로 한다. 개인의 스마트폰이나, PC방, 가정의 PC 등에서 VDI 접속할 수 있다.

Q. 어느 정도 규모가 있는 고객들은 이미 EA(Enterprise Agreement)나 GA(Government Agreement) 등 사이트 라이선스 계약을 맺고 있다. 이들이 VDA를 구현하면 라이선스를 따로 구입해야 하나?

SA를 체결한 EA나 GA 고객은 추가적인 비용 없이 PC를 통해 가상 데스크톱에 접속할 수 있다. 하지만 PC가 아닌 씬클라이언트나 태블릿으로 접속할 때는 VDA 라이선스가 필요하다.

<심재석 기자>sjs@ddaily.co.kr

디지털데일리 네이버 메인추가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