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상중계 / 2011 모바일 엔터프라이즈 혁신 컨퍼런스]
- 글로벌 검증된 솔루션 도입·자체 솔루션도 병행 제공
[디지털데일리 윤상호기자] “향후 기업 모바일화는 단말기의 경우 멀티 디바이스, 멀티 운영체제(OS)를 기반이다. KT는 글로벌 시장에서 검증된 안테나의 솔루션을 도입한 KEMP부터 KT가 자체 개발한 KMP 등 산업·업종별 솔루션까지 보유하고 있다.”
3일 KT FMC사업팀 김원재 팀장은 서울 양재동 엘타워에서 열린 ‘2011, 모바일 엔터프라이즈 혁신’ 컨퍼런스에 참석해 이같이 말하고 KT의 모바일 오피스 플랫폼을 검증된 솔루션 제공이라고 강조했다.
KT는 모바일 오피스를 ‘올레 비즈 모바일 오피스’라는 브랜드로 판매하고 있다. 안테나의 안테나 모빌리티 플랫폼(AMP)을 기반으로 한 대기업용 KT 엔터프라이즈 모빌리티 플랫폼(KEMP)와 중소기업용 KT 모빌리티 플랫폼(KMP), 의료·보험·교육·증권 등 10개 산업 특화 솔루션 등이 핵심이다.
김 팀장은 “모바일 오피스 구축은 그룹웨어 중심에서 업종별 솔루션이 중요해지고 있다”라며 “KEMP는 기업 내부 시스템과 멀티 OS 및 디바이스를 연동해 중복 개발 없이 서비스가 가능하다”라고 말했다.
KEMP의 핵심인 AMP는 최근 스페인에서 열린 ‘MWC 2011’에서 ‘최고 모바일 엔터프라이즈 솔루션’으로 선정된 바 있다. KT는 작년 이 솔루션을 도입해 자체 모바일 오피스에 적용하는 한편 국내 대기업과도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다.
김 팀장은 “KT가 제공하는 솔루션은 이미 세계 유수 기업에서 검증을 마친 상태”라며 “KT가 서버를 관리하는 연동형, 기업이 직접 서버를 관리하는 구축형 모두 가능하다”라고 설명했다.
한편 KT는 이날 모바일 오피스에서 한 발 더 나아간 ‘스마트앱’ 사업 모델도 공개했다. 스마트앱은 KT가 기업이 필요한 애플리케이션(앱)을 만들어주고 유지보수도 해주는 앱 제작관리 대행 비즈니스 모델이다. 모바일 광고 및 쿠폰을 지원하고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와도 연계할 수 있다.
김 팀장은 “기업이 앱을 자체적으로 만들면 초기 투자 및 향후 부담이 크다”라며 “스마트앱을 쓰면 최소한의 투자로 앱과 서버 구축이 가능하다”라고 전했다.
<윤상호 기자>crow@ddaily.co.kr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SKT가 MWC에서 선보일 AI 기술은?…K-콘텐츠부터 금융까지
2025-02-25 23:59:40LGU+, MWC서 'PQC(양자내성암호)' 기술로 AI 보안 차별화
2025-02-25 18:22:06통신 이용자정보 조회도 ‘영장주의’...국회 여야 평행선에 논의 ‘답보’
2025-02-25 16:51:20콘텐츠가 한눈에…케이블TV VOD 플랫폼 '오초이스' 재단장
2025-02-25 13:55:29적자폭 줄인 티맵모빌리티, 우티 이어 전동킥보드도 접는다
2025-02-25 17:48:34SK스퀘어, 작년 영업익 3조9126억원 ‘사상최대’...매출은 전년比 16.2%↓
2025-02-25 17:29:51[DD퇴근길] "오픈AI 올라타자"…韓 AI 동맹전선 윤곽 언제쯤?
2025-02-25 17:28:05조국혁신당 ‘디지털권 보장’ 정책 제안…“‘개인정보 대시보드’로 이용자 보호 강화”
2025-02-25 16:49:53마크비전 “지난해 위조상품·불법 콘텐츠 5041만건 제재”
2025-02-25 15:26: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