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통신*방송

“K-미디어, 아직 글로벌 주류 아냐”...‘제2폭싹·오겜’ 계속 나오려면?

(왼쪽부터) 이성민 방송통신대학교 미디어영상학과 교수, 강동한 넷플릭스 한국 콘텐츠 부문 VP, 고현주 넷플릭스 한국 커뮤니케이션 부문 시니어 디렉터 [ⓒ넷플릭스]
(왼쪽부터) 이성민 방송통신대학교 미디어영상학과 교수, 강동한 넷플릭스 한국 콘텐츠 부문 VP, 고현주 넷플릭스 한국 커뮤니케이션 부문 시니어 디렉터 [ⓒ넷플릭스]

[디지털데일리 오병훈기자] “아직 K-드라마나 영화 등 미디어 콘텐츠가 글로벌 주류로 완전히 자리잡았다고 보기 어렵습니다. 지속적인 투자를 이끌어내기 위한 인식 선순환 구조를 만드는 것이 핵심입니다.”

21일 이성민 방송통신대학교 미디어영상학과 교수는 넷플릭스가 주관한 국내 미디어 대상 행사 ‘넷플릭스 인사이트’에서 ‘넷플릭스와 K콘텐츠 소프트 파워’를 주제로 발표하며 이같이 강조했다. 넷플릭스와 같은 글로벌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를 통해 글로벌 콘텐츠 시장 영향력을 확장한 것은 사실이나, 단기 성과에 매몰되기 보다는 장기적으로 글로벌 시장을 공략할 수 있는 연구가 이어져야 한다는 의견이다.

이 교수는 한국 미디어 업계가 글로벌 OTT로부터 대규모 투자를 받고, 글로벌 콘텐츠 영향력을 확장 중인 현 상황에 대해선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특히 지난 2021년 공개된 넷플릭스 ‘오징어게임’을 시작으로 본격화된 K-미디어 영향력 확장 덕분에 최근 공개된 ‘폭싹 속았수다’ 등 작품 제작 등으로 이어질 수 있었다는 분석이다. 이 같은 성과는 넷플릭스 입장에서도 한국 시장에 대한 중요도를 인식하는 계기가 됐다.

이 교수는 “OTT 투자를 통해 작품이 글로벌에 공개되면서, 한국이란 나라에 대한 외국인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며 “특히 과거에 한국을 잘 모르던 나라에서도 한국에 대한 이미지가 좋아지고 있는데, 이렇게 사람들이 생각이 바뀔 수 있게 만드는 핵심 경로가 넷플릭스와 같은 스트리밍플랫폼”이라고 전했다.

같은 날 무대에 오른 강동한 넷플릭스 한국 콘텐츠 부문VP도 “넷플릭스의 아시아 시장 성장세가 눈에 띄는 상황 속, 넷플릭스는 꾸준히 한국 콘텐츠 제작에 투자해 온 바 있다”며 “이는 넷플릭스가 한국을 얼마나 중요하게 보고 있는지 잘 알려주는 부분이며, 본사에서도 한국 시장이 콘텐츠 시장이 중요하다는 인식은 지속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 교수는 이 같은 투자가 지속되기 위해서는 글로벌 OTT와의 지속적인 협업 체계를 공고히 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을 냈다. K-영상콘텐츠를 완전한 ‘글로벌 주류’로 평가하기엔 시기 상조이며, 지속적으로 투자 매력도를 높여 투자 선순환 구조를 만들 필요가 있다는 분석이다.

이 교수는 “그동안 국내 미디어 업계가 내수 시장, 아시아권만 바라봤다면, 넷플릭스 이후 다양한 산업이 글로벌 주류로 자리매김할 수 있는 가능성을 기대할 수 있게 됐다”며 “넷플릭스가 현재 K-콘텐츠에 지속적으로 투자하고 있는 장기적 파트너로 자리 잡은 만큼, 넷플릭스와 한국이 윈-윈(Win-Win) 하는 관계로 나갈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넷플릭스에서도 한국 콘텐츠 성과를 유지하고 이를 기반으로 아시아 시장 성장을 지속하기 위한 다양한 협력 방안을 마련하는데 집중한다는 입장이다.

강 VP는 “넷플릭스와 한국 창작 생태계가 콘텐츠 제작을 넘어 함께 ‘문화’를 만들어가고 있다는 생각”이라며 “넷플릭스는 한국을 ‘창작의 뿌리’라고 생각하기에 앞으로도 다양한 창작자들, 파트너사들과 함께 K-콘텐츠의 지속가능성을 위해 투자할 것”이라고 말했다.

물론, OTT의 국내 투자 확대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도 존재한다. 업계 일각에서는 거대 자본을 두른 넷플릭스가 한국 콘텐츠 시장 내 제작 단가를 높이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되기도 했다. 이는 결국 국내 미디어생태계 양극화를 불러 일으킬 것이란 주장이다.

이와 관련 강 VP는 “콘텐츠를 만드는데 있어서 제작비를 올라가는 게 나쁜 것인가 하는 의문”이라며 “과거에는 한국 콘텐츠를 돈주고 보는 경우가 없었다. 한국 콘텐츠가 글로벌 OTT에서 프리미엄 콘텐츠가 됐다는 것은 큰 의미를 지니며, 그 과정에서 제작비 상승 문제가 화두가 되는 측면이 있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 교수는 “여러 우려 목소리가 나오고 있는 것을 모르지는 않다”며 “그러나 우려 목소리가 높을 때는 우려 속에 가려져 있는 미래 가능성들에 집중해야 될 때라고 생각한다. 국내 미디어 업계가 글로벌 시장을 경험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출연자 안전 문제나 창작자 대우 등 기준도 글로벌 프로덕션 수준으로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디지털데일리 네이버 메인추가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