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반폰까지 사용 확장…접속방법 다양화 ‘숙제’
[디지털데일리 윤상호기자] 모바일 인터넷이 부각되고 있다. 무선 인터넷 활성화를 위해 콘텐츠의 중요성도 높아지고 있다. 이동통신사, 단말기 제조사, 콘텐츠 업계 등 각각이 한국형 콘텐츠 사업을 위해 발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가장 먼저 나선 곳은 SK텔레콤이다.
SK텔레콤은 지난 9월부터 애플리케이션 오픈 마켓 ‘T스토어(www.tstore.co.kr)’를 운영하고 있다. 누구나 콘텐츠를 등록할 수 있고 구매할 수 있다. 위피 기반 휴대폰에서 활용할 수 있는 콘텐츠와 윈도모바일 운영체제(OS)용 콘텐츠를 구비하고 있다. 일반폰과 윈도모바일 스마트폰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다. 삼성전자도 T스토어에 ‘숍인숍(Shop in Shop)’ 형태로 해외에서 운영 중인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비스를 시작했다.
◆일반폰 사용자도 쓸 수 있는 한국형 모델=현재 가입자 수는 21만여명에 달한다. 등록 콘텐츠 수는 2만8000개며 윈도모바일 콘텐츠는 1000여개다. 다운로드 수는 78만건을 넘어섰다. 5200여명의 판매회원이 활동하고 있다.
T스토어 오픈 이후 줄곧 유료 콘텐츠 다운로드 1위를 차지해 온 ‘베이비폰’ 개발자 유재현(33)씨는 11월말까지 약 6000만원의 매출을 올렸으며 대학생 개발자로 유명세를 탄 ‘지하철 알리미’ 개발자 이민석(26)씨는 두 달 만에 4000만원 가량의 매출을 달성했다.
현재 SK텔레콤은 T스토어 콘텐츠 다운로드시 발생하는 데이터통화료를 무료로 제공하고 있다. 오는 2010년 1월31일까지 정보이용료만으로 콘텐츠를 구매할 수 있는 셈이다. 데이터통화료 외에도, 무선인터넷 T스토어(**4+네이트)에서 콘텐츠 검색, 페이지 이동 시 발생하는 데이터통화료도 모두 무료로 지원한다.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과기정통부, SKT 침해사고 조사 추진…"관리감독 철저히 할 것"
2025-04-22 11:39:36SKB, SK캐미칼 보유 울산 토지 매입…AIDC 건설 본격화 전망?
2025-04-22 10:32:32SKT, 사내 시스템서 해킹사고 발생…유심 정보 유출 정황
2025-04-22 10:00:00LGU+, 의료 상담 특화 AICC로 ‘스마트 병원’ 만든다
2025-04-22 09:27:30국민 절반 이상 “구글에 정밀지도 반출 반대”…안보·주권 우려가 가장 커
2025-04-22 19:54:05"이젠 기업이 선택받는 시대…초핵심 인재 확보가 성패 가른다"(종합)
2025-04-22 17:51:03[DD퇴근길] "11일만에 매출 100억"…넷마블, 'RF온라인'으로 재도약 시동
2025-04-22 17:09:02[현장] ‘컬쳐핏’은 옛말, 올해 채용 키워드는 ‘모티베이션 핏'
2025-04-22 16:12:24국립저작권박물관·홍대 맞손…젊은 창작자 영상작품 특별전시 개최
2025-04-22 15:0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