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성전자 AMOLED·LG전자 돌비 모바일·팬택계열 3D UI 특징
프리미엄폰 시장 경쟁이 치열하다. 삼성전자의 ‘햅틱 아몰레드폰’과 LG전자의 ‘아레나폰’, 팬택계열의 ‘큐브릭폰’ 등이 사용자의 선택을 기다리고 있다. 내게 맞는 휴대폰은 어떤 제품일까.
◆아몰레드 큐브릭 ‘보는 휴대폰’·아레나 ‘듣는 휴대폰’=‘햅틱 아몰레드폰’과 ‘큐브릭폰’의 강점은 디빅스(DviX) 포맷 동영상을 재생할 수 있는 점이다. 디빅스 포맷은 PC에서 고해상도 동영상을 볼 수 있도록 하는 멀티미디어 파일형식이다. 두 휴대폰 모두 휴대용멀티미디어재생장치(PMP)와 비교해도 손색이 없다. 별도 인코딩 없이 PC에서 내려받은 동영상을 바로 저장해 보면된다. 자막파일도 문제없이 재생된다. 해상도는 WVGA(800*480)급이다. 화면 크기는 3.5인치와 3.2인치다.
삼성전자 ‘햅틱 아몰레드폰’은 LCD 대신 AMOLED를 탑재해 더욱 선명한 화질과 넓은 시야각을 구현했다. 실내에서는 두 제품 모두 별 차이 없지만 야외에서는 아무래도 AMOLED가 좋다. 화면 크기가 더 ‘큐브릭’보다 큼에도 불구하고 제품 가로사이즈는 비슷하다.
‘아레나폰’은 DRM을 해제해 자유롭게 MP3파일을 재생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돌비 모바일 솔루션을 내장해 음질도 뛰어나다. 그러나 3.5파이 이어폰 단자가 빠져 번들 이어폰만 사용해야 하는 점과 SK텔레콤용 제품은 여전히 멜론을 이용해야 한다는 것이 단점이다.
◆3D UI, 큐브릭>아몰레드>아레나=새로 도입한 3D 사용자 환경(UI)의 완성도와 편의성은 ‘큐브릭폰’이 가장 뛰어나다. 전 메뉴를 3D 큐브를 통해 접근할 수 있다. 테마도 바꿀 수 있다. 조작하는 대로 반응하기 때문에 두세번 터치할 필요가 없다. 삼성전자의 3D 큐브는 반응 면에서는 합격점이지만 일부 멀티미디어 기능만 이용할 수 있다. LG전자의 3D 큐브는 전체 UI와 결합성이 떨어져 활용도 자체가 낮다.
디자인은 일장일단이 있다. 크기는 ‘아레나폰’이 가장 작다. 무게도 가볍다. 화면이 3사 제품 중 가장 작은 3인치이기 때문이다. ▲통화 ▲종료 ▲취소 버튼을 터치로 처리해 심플한 디자인을 구현했다. 하지만 테두리와 배터리 커버에 사용된 스틸소재는 흡집에 취약하다. 대신 보호 케이스를 기본 제공한다. ‘햅틱 아몰레드폰’은 새로운 삼성전자의 터치폰 디자인을 적용한 제품이다. 화면 사이즈가 가장 큰 탓에 3사 제품 중 가장 크고 무겁다. ‘큐브릭폰’은 ▲통화 ▲종료 ▲취소 키가 너무 작고 하단에 치우쳐 있어 누르기가 불편하다.
‘햅틱 아몰레드폰’과 ‘아레나폰’은 500만화소 카메라와 플래시를 탑재했다. ‘아레나폰’의 경우 슈나이너 인증 렌즈를 썼다. 스마일샷 등 콤팩트 디지털카메라급 성능을 갖췄다. ‘큐브릭폰’은 300만화소 카메라를 내장했다. 플래시는 없다.
◆아레나폰, 정전식 터치방식 국내 첫 도입=‘아레나폰’은 정전식, ‘햅틱 아몰레드폰’과 ‘큐브릭폰’은 기존 터치폰과 같은 감압식 터치스크린을 채용했다. 정전식은 전기로 반응하기 때문에 손가락으로만 터치를 해야 한다. 때문에 미세 동작 구동이 쉽지 않다. 대신 ‘멀티 터치’가 가능하다. ‘햅틱 아몰레드폰’에는 원핑거 줌이라는 한 손가락을 이용해 사진의 확대 축소를 할 수 있는 기능이 들어갔다. ‘멀티 터치’에 대항하기 위한 기술인데 보완할 점이 많다.
센서 활용은 ‘큐브릭’이 가장 섬세하다. 기존 센서 내장 휴대폰이 사진 동영상 게임 등에서만 제한적인 방향에서 사용할 수 있었던 것을 휴대폰을 돌리는데로 가로세로 4방향 모두 전환되도록 했다. 또 영상통화 지하철노선도 문서뷰어 등 다양한 서비스로 동작센서 적용범위를 늘렸다. ‘햅틱 아몰레드’는 세 방향, ‘아레나폰’은 두 방향으로만 전환된다. ‘큐브릭’은 GPS 센서를 이용해 촬영된 사진에 위치정보를 기록하는 지오태깅 기술도 적용했다. 사진 속 장소와 내비게이션 서비스는 연동된다. 사진만 있으면 장소를 찾는 것이 가능해졌다.
‘햅틱 아몰레드폰’은 3.5파이 이어폰 단자를 장착해 사용자가 원하는 이어폰을 사용할 수 있다. ‘아레나폰’은 모든 메뉴 기능을 한 화면에 모아 접근 단계를 줄였다. ‘큐브릭폰’은 휴대폰 최초로 내비게이션 단말기에서 지원하는 두 화면 서비스(PIP)를 지원한다. 길안내를 받으면서 지상파 DMB를 동시에 볼 수 있다.
<윤상호 기자>crow@ddaily.co.kr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통신 이용자정보 조회도 ‘영장주의’...국회 여야 평행선에 논의 ‘답보’
2025-02-25 16:51:20콘텐츠가 한눈에…케이블TV VOD 플랫폼 '오초이스' 재단장
2025-02-25 13:55:29[DD퇴근길] 5G, 진짜 가입자는?…정부, 단말기준 집계 방식 바꿀까
2025-02-24 17:19:32진짜 ‘5G 가입자’ 몇 명?…정부, 가입자 집계 기준 변경 검토하나
2025-02-24 16:33:20조국혁신당 ‘디지털권 보장’ 정책 제안…“‘개인정보 대시보드’로 이용자 보호 강화”
2025-02-25 16:49:53마크비전 “지난해 위조상품·불법 콘텐츠 5041만건 제재”
2025-02-25 15:26:08"BTS·블랙핑크 나이스"…68만 빅데이터로 본 최고 한류는 'K-팝'
2025-02-25 15:07:21“이게 돈이 되거든요”...패션 플랫폼, 뷰티 시장 뒤흔들까
2025-02-25 14:15:45[IT클로즈업] 카톡 선물하기·야놀자 예약, 다음은?…베일 싸인 오픈AI 韓 동맹
2025-02-25 14:14: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