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특집

[2008년 주목되는 10대 IT기술] AMOLED(능동형 유기발광다이오드)

LCD 대체기술 올해 본격 상용화여부 초미 관심

AMOLED(능동형 유기발광다이오드)는 LCD를 대체하는 획기적 기술로 평가되고 있다. 수율이 낮고, 시장이 형성되지 않아 수요를 예측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지만, AMOLED의 기술만큼은 인정받고 있다. 잔상 문제, 명암비, 해상도, 시야각, 색 표현력 등 여러 면에서 LCD보다 우위에 있기 때문이다.

지난 2007년부터 상용화가 이뤄지기 시작한 AMOLED는 올해부터 관련 기술이 본격 개발되고, LCD와의 격차를 줄일 수 있는 다양한 기술이 나올 것으로 기대된다.

AMOLED의 양산 시대의 막을 올린 삼성SDI가 기술주도권을 갖는 가운데 LG의 관련 사업부를 일원화한 LPL도 AMOLED 사업에 박차를 가할 것으로 보여, 치열한 경쟁이 예고되고 있다. 이미 해외에서는 대만 Ritdisplay, CMO(치메이옵토일렉트로닉스) 등이 거론되고 있다.

AMOLED는 유기물 또는 공액 고분자를 발광소재로 해서 두 전극 사이에 끼워 놓고 전압을 가하면 전류가 발광소재 내부로 흐르면서 빛이 발생되는 원리를 이용하는 디스플레이이다.

빛을 내기 위한 백라이트가 없어 기기의 슬림화를 가능케 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선태규 기자>

디지털데일리 네이버 메인추가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