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4월말에 전자거래기본법 개정안이 국회를 통과하면서 공인전자문서보관소 사업이 본격적으로 확산될 것으로 예상됐지만 실제 시장 상황은 그렇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11일 시스템 및 IT서비스업계에 따르면 올해 KTNET과 LG CNS가 각각 1,2호 사업자로 선정됐지만 실제 금융권이나 공공, 의료 등 주요시장에서의 수요는 미미한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에서는 그간 사업 진행의 발목을 잡았던 전자거래기본법 개정안이 지난 4월말에 통과되면서 하반기부터는 관련 사업이 빠르게 진행될 것으로 예상했지만 법적인 강제성이 없는데다 금융권 등이 자체적으로 전자문서보관사업을 진행하는 경우가 많아 실제 공전소까지 이어지는 수요는 드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전자문서보관 사업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공전소 사업자가 데이터센터 등 IT 인프라를 갖춰야 하는 것은 물론, 발주처인 기업들도 비즈니스 프로세스 재설계(BPR)를 선행해야 한다는 점에서 당분간 시장이 폭발적인 성장을 보이기는 어려울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실제 1, 2호 사업자인 KTNET과 LG CNS의 경우 기존에 사업을 수행한 바 있는 전자무역 관련 분야나 카드사와 연계된 부가가치통신망(VAN) 사업자를 대상으로 한 비즈니스 외에는 별다른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물론, 아직 법안이 통과된 지 얼마 지나지 않은데다 사업 첫해라는 점에서 기존 공전소들이 큰 성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점도 있지만 수요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공전소 비즈니스까지 이어지지 못한다는 점이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일례로 일부 대형 은행들의 경우 자체적으로 전자문서보관 사업을 진행하고 있는데다 공공기관의 참여 역시 저조하다. 또한 주요 수요처로 평가되는 의료기관들 역시 사정은 마찬가지이다.
여기에 종이문서를 꼭 전자문서로 보관해야 한다는 법적인 강제성도 없기 때문에 실제 수요발생은 더욱 늦춰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기존 공전소 사업자들은 제2금융권이나 일반 기업들, 특히 중견·중소기업들을 대상으로 비즈니스를 강화하는 것이 단기적으로는 유일한 해법으로 보고 있다.
이처럼 시장 초기에 대규모 수요 발생이 어려워지면서 연초부터 공전소사업에 관심을 보여왔던 삼성SDS나 한신평정컨소시엄의 경우 여전히 사업자 지정 신청에 미온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 특히, 삼성SDS의 경우 공전소사업의 우선순위를 그룹내 관계사 비즈니스에 두고 있는 상황이다.
삼성SDS 관계자는 “연내에 사업신청을 목표로 내부적으로 준비하고 있다”면서도 “급하게 진행할 필요는 없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시장성이 크다고 판단됐으면 발빠르게 초기에 투자를 진행했을 것”이라며 “외부시장이 급격히 팽창할 가능성이 낮아 참여 시기를 조율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신평정컨소시엄 관계자 역시 “당분간은 수요가 크게 발생할 가능성이 낮아 사업진출 시기를 조율하고 있다”며 “급하게 추진할 필요는 없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삼성SDS와 한신평정컨소시엄은 연내에는 사업을 신청한다는 계획이지만 이마저도 유동적인 상황이며 실제 연말에 사업자 신청이 들어가더라도 실제 지정까지 6개월 가량의 시일이 소요된다는 점에서 이들 사업자가 실제 비즈니스에 나서는 시점은 내년 하반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채수웅 기자> woong@ddaily.co.kr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유심칩 초기물량 100만 소진…유영상 대표 “5~6월 각각 500만 추가공급”
2025-04-30 11:29:48내 차는 안전할까?…“SKT 해킹사고로 IoT에서 2차피해 우려”
2025-04-30 11:25:12유영상 SKT 대표 “해지 위약금 면제, 종합 검토하겠다”
2025-04-30 11:23:25“황금연휴에도 매일 택배 도착”…CJ온스타일, 배송 확장 본격화
2025-04-30 10:38:19SKT, 유심 긴급 발주 “年공급이 300만인데…2000만을 어떻게”
2025-04-30 10:35:30유상임 장관, SKT 해킹사고 현장 점검…"2중, 3중 피해 예방조치 필요"
2025-04-30 09:52:39'에브리씽 위 두 이즈 뮤직' 공모 시작…콘진원, 무대 제작 지원
2025-04-30 14:22:22민주당 게임특위, 7일 ‘게임 산업 진흥 위한 업계 간담회’ 개최
2025-04-30 14:21:52SM엔터, 서울시와 ‘광야숲’ 3기 조성…환경 경영 결실 맺는다
2025-04-30 13:29:08[네카오는 지금] “대선 레이스 본격 준비”…포털, 특집페이지 연다
2025-04-30 11:30:10웹툰 IP 드라마 'ONE: 하이스쿨 히어로즈', OTT '웨이브'로 간다
2025-04-30 11:29:28카카오게임즈, 세브란스 재활병원 아동환자에 '게임 체험 캠프'
2025-04-30 11:15: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