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무선랜, 세계 어디서나 무료로 쓰자”
디지털데일리
발행일 2006-06-08 16:04:41
8일 부터 국내 서비스…전 세계 회원들과 무선랜 AP 공유
‘고비용’과 ‘제한된 커버리지’라는 기존 무선랜의 한계를 ‘공유’의 정신을 통해 해체해가고 있는 WiFi 커뮤니티 ‘FON’이 드디어 한국에 상륙했다. FON은 개인이 이 커뮤니티에 등록한 뒤 자신의 AP를 회원들과 공유하는 형태의 서비스로, 자신의 AP(공유된)가 켜져 있을 때는 전 세계 어디서나 다른 회원의 무선 네트워크를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획기적인 공동 접속 방식이다. 국내에서도 8일 이 서비스가 정식으로 개시됨으로써 FON에 등록하는 회원들은 국내는 물론, 전 세계 어디서든 FON 핫스폿이 존재하는 곳에서는 무료로 무선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게 됐다. 스페인에 본사를 둔 FON은 지난해 11월 처음 시작된 이후 현재 전 세계적으로 4만 4000명의 회원을 확보했으며, 최근 들어서는 매달 1만명이 추가로 등록할 만큼 빠른 가입자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뿐만 아니라, 세계 144개 나라에 회원들이 퍼져 있어 앞으로 가입자 증가는 더욱 속도가 빨라질 것으로 예상된다. FON의 파괴력은 이 회사에 투자한 주주사들의 면면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설립 3개월만인 올해 2월 미국 최대 포털인 구글과 세계 최대 인터넷전화 스카이프를 비롯해 미국 최고의 벤처 펀드사인 인텍스 벤처스와 세쿠와이어 캐피털로부터 2200만 달러(한화 약 210억원)의 투자를 이끌어내 업계의 화제가 되기도 했다. 현재 FON은 한국에 50여명의 회원을 두고 있으며, 한국 내 서비스는 1994년 국내 최초의 ISP인 아이네트를 설립해 인터넷 보급을 시작했던 허진호 박사가 ‘Fonero 리더’를 맡아 주도하게 된다. Fonero 리더는 기업의 대표가 아니라, FON 커뮤니티의 책임자 역할이라는 것이 FON 코리아의 설명이다. 허진호 박사는 “앞으로 무선 랜이 가전제품에도 탑재될 것이 예상되는 상황에서 FON은 가장 보편적인 무선 인터넷 방식인 무선 랜 접속 경험을 가장 자유롭고 저렴하게 제공하는 서비스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FON 코리아는 초고속인터넷 강국인 한국에서 FON의 확산이 그다지 어렵지 않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단순한 논리이기는 하지만 서울 시내 500만이 넘는 초고속인터넷 가입자 중 유무선 공유기나 무선랜 AP를 가진 사용자 10~20만 정도만 FON에 가입한다면 서울의 주요 인구밀집지역은 FON의 커버리지가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 자신의 AP를 등록하지 않은 사용자라도 매우 저렴한 비용으로 FON에 가입된 공유기를 통해 무선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이 서비스는 향후 국내 무선 인터넷 시장 성장, 핫스폿 서비스를 제공하는 ISP 사업자와의 갈등 등 적지 않은 이슈를 몰고 올 것으로 예상된다. FON의 서비스는 AP를 등록한 회원들이 등록된 어떤 AP도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리누스(Linus)’, 자신의 등록한 AP를 요금을 받고 제공하면서 자신도 요금을 내고 FON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빌(Bill)’, 자신의 AP가 없이도 필요에 따라 요금을 내고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에일리언(Alien)’으로 나뉜다. 초고속인터넷에 가입한 사람이 FON 회원이 되려면 FON 웹사이트(www.fon.co.kr)에 등록하고, FON과 호환이 되는 무선 공유기에 FON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하거나, FON 소프트웨어가 설치된 공유기를 구입해 등록만 하면 된다. 국내에서는 우선 리누스 형태의 서비스만 제공되며, 6월 말부터 빌과 에일리언 서비스도 개시할 예정이다. 또한 FON 코리아는 FON 서비스의 국내 출시를 기념해 버팔로 유·무선 공유기 1000대를 5000원에 판매하는 프로모션도 시작했다. FON 서비스의 창시자인 아르헨티나의 벤처기업가 마틴 바싸브스키는 “전 세계적으로 초고속인터넷 보급률이 가장 높은 한국 진출은 FON에 있어 매우 큰 의미를 갖는다”며, “인터넷을 가장 활발하게 사용하는 시장인 만큼 FON 서비스를 통해 보다 많은 혜택을 얻게 될 것”이라고 한국진출에 큰 기대감을 나타냈다. <김재철 기자> mykoreaone@ddaily.co.kr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