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디스플레이

"꿈의 OLED 현실로"...LG디스플레이, '청색 인광 제품화' 세계 첫 검증 성공 [소부장디과장]

형광과 인광의 발광 메커니즘. [ⓒLG디스플레이]
형광과 인광의 발광 메커니즘. [ⓒLG디스플레이]

[디지털데일리 배태용 기자] LG디스플레이가 세계 최초로 양산 라인에서 청색 인광 OLED 패널 제품화 성능 검증에 성공하며 차세대 OLED 시장 선점에 한 발 더 다가섰다. 업계에서는 전력 효율과 화질을 동시에 잡는 ‘꿈의 OLED’ 구현이 성큼 현실로 다가왔다는 평가다.

1일 LG디스플레이는 청색 인광 OLED 제품이 실제 양산 공정에서 성능, 공정성, 광학 특성까지 검증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청색 인광 핵심 물질 개발을 위해 미국 UDC(Universal Display Corporation)와 협업을 본격화한 이후 불과 8개월 만에 이룬 성과다.

디스플레이에서 RGB(적·녹·청) 3색을 모두 인광으로 구현한 OLED는 발광 효율이 이론상 100%에 달한다. 기존 형광 방식의 OLED가 약 25%의 효율만을 내는 것과 비교하면 전력 소모를 최대 4분의 1까지 줄일 수 있다. 그러나 짧은 파장과 높은 에너지 요건으로 인해 청색 인광 개발은 수십 년 간 미완의 과제로 남아 있었다.

LG디스플레이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하이브리드 투 스택 탠덤’(Hybrid Two Stack Tandem) 구조를 채택했다. 하단층에 청색 형광, 상단층에 청색 인광을 각각 배치해 양쪽의 장점을 결합한 것이다. 이를 통해 기존 OLED 대비 15% 이상 전력 효율을 높이면서도 신뢰성과 수명 등 패널의 내구성은 그대로 유지하는 데 성공했다.

회사 측은 "청색 인광 OLED 제품이 실험실 단계를 넘어 실제 양산 라인에서도 충분한 수율과 공정 안정성을 입증한 것은 세계 최초"라며 "UDC와 함께 제품화 검증까지 마쳤고, 관련 기술 특허도 한국과 미국에 단독 출원한 상태"라고 설명했다.

LG디스플레이는 이 기술을 적용한 중소형 OLED 패널을 오는 11일부터 미국 새너제이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디스플레이 전시회 'SID 2025'에서 공개할 예정이다. 해당 패널은 스마트폰, 태블릿, AI PC, AR/VR 디바이스 등 고해상도와 고전력 효율을 동시에 요구하는 차세대 IT기기에 적용 가능하다는 게 회사 측의 설명이다.

윤수영 LG디스플레이 CTO(부사장)는 "청색 인광 제품화는 차세대 OLED 시장에서 기술 주도권을 확보할 수 있는 혁신의 이정표"라며 "미래 디스플레이 시장의 패러다임을 주도할 기반 기술로 성장할 것"이라고 밝혔다.

디지털데일리 네이버 메인추가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