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뉴스

"토큰화된 실물 자산 시장, 2033년까지 연평균 53% 급성장" … 리플·BCG 전망

[디지털데일리 박기록기자] 국내서도 토큰증권(STO) 법제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토큰화된 실물 자산 시장이 현재 6000억 달러에서 2033년까지 18조 9000억 달러로 연평균 성장률 53%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됐다.

이는 8일 가상자산 인프라 기업인 리플(Ripple)과 보스턴 컨설팅 그룹(BCG)이 공동으로 향후 토큰화 시장의 전망을 내놓은 보고서(Approaching the Tokenization Tipping Point)에 따른 것이다.

리플과 BCG는 보고서에서 기관의 토큰화 도입이 ▲머니마켓펀드(MMF) 및 채권과 같이 비교적 익숙한 상품을 대상으로 하는 ‘저위험 도입(Low-risk adoption)’ ▲사모 펀드 혹은 부동산 등으로 자산 범위가 넓어지는 ‘기관 확장(Institutional expansion)’ ▲금융·비금융 상품에 토큰화가 채택되는 ‘시장 혁신(Market transformation)’의 세 가지 단계를 거쳐 진화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또한 현재 대부분 기업의 경우 1단계에 위치하거나 2단계에 진입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기술했다.

관련하여 이같은 자산의 토큰화와 관련 블랙록(BlackRock), 피델리티(Fidelity) 및 JP모건(JPMorgan)과 같은 초기 채택 기업들은 이미 운영 중이라고 전했다.

리플X의 수석 부사장인 마커스 인팡거(Markus Infanger)는 "시장은 단순히 온체인에 있는 토큰화된 자산에서 실제 경제 활동으로 통합되는 단계로 전환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보고서는 토큰화된 실물자산의 성장 동력으로 EU, 아랍에미리트(UAE), 스위스와 같은 시장에서 규제 명확성이 이미 확립되었으며, 미국에서도 곧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는 점을 들었다. 또 수탁 플랫폼을 포함한 성숙한 기술 인프라, 은행 및 핀테크 M&A의 전략적 투자, 기관 공급과 투자자 수요가 서로를 강화하는 플라이휠 효과를 강조했다.

다만 인프라 파편화 및 규제 불일치와 같은 과제가 남아 있지만, 표준 및 인프라에 대한 협력적 노력을 통해 이러한 문제를 극복할 것으로 전망했다.

디지털데일리 네이버 메인추가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