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뉴스

이복현 "공매도 전산화, 우리 자본시장 신뢰도 높일 것"… 공매도 관리시스템, 어떻게 운영되나

20일 서울 여의도 한국거래소에서 열린 '증시 인프라 개선에 대한 열린 토론회'에서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발언하고 있다. <사진자료: 연합뉴스>
20일 서울 여의도 한국거래소에서 열린 '증시 인프라 개선에 대한 열린 토론회'에서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발언하고 있다. <사진자료: 연합뉴스>

[디지털데일리 박기록기자]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참석한 가운데 20일 오전 여의도 한국거래소 컨퍼런스홀에서 '공매도 전산화 및 대체거래소 출범 등 인프라 개선에 대한 열린 토론회'가 개최됐다.

이날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공매도 전산화는 세계 최초로 시도되는 글로벌 민관협력 체계로, 우리 자본시장의 신뢰도를 한층 제고시킬 것으로 기대된다"며 "이 제도들이 우리 자본시장에 안정적으로 정착된다면 글로벌 투자자들에 대한 우리 시장의 매력도가 제고될 것이 자명하나 최초로 도입되는 제도인 만큼 시행 전까지도 부족한 부분이 없는지 꼼꼼히 챙겨볼 필요가 있다"고 언급했다 .

'공매도' 재개를 앞두고 있는 가운데, 금융당국이 그동안 불법 공매도를 근절하기위해 준비해온 '공매도 잔고관리시스템 운영 프로세스'에 대한 관심도 커지고 있다.

이날 토론회에서 KB증권이 발표한 '공매도 잔고관리시스템 운용프로세스'를 보면, 앞으로 증권사는 '독립거래단위 운영' 잔고관리시스템을 통해 독립거래단위와 관련한 독립거래단위 등록・승인・담당직원・운용상품을 통합 관리하게 된다.

실무부서가 임의로 독립거래단위를 입력・정정할 수 없도록 준법부서 승인 체계를 구축한다는 설명이다.

또한 개별 독립거래단위 뿐만 아니라 회사 전체에 대해서도 기관내 내부대차거래를 반영한 실시간 매도가능잔고를 산출・관리하는 체계를 갖춘다.

이와함께'무차입공매도 사전차단'과 관련해선, 증권사는 종목별 실시간 잔고 산출을 통해 매도 주문 수량 대비 매도 가능 수량 부족시 해당 주문을 사전에 차단하도록 한다.

한편 공매도 중앙점검시스템(NSDS) 운영 체계와 관련해선, 기관은 매영업일의 종목별 잔고정보 등을 T+2(2일내)까지 NSDS에 보고하고, 거래소는 3일내 불법 공매도, 보고누락 등 의심거래 적출하여 공매도 법인에 통보한다. 이후 기관은 증빙자료 및 사실관계 확인서 작성해 거래소에 송부하는 절차를 거친다.

디지털데일리 네이버 메인추가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