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플랫폼

"밤 10시되면 셧다운"…인스타그램, 韓서도 '청소년 계정' 도입

부모가 10대 자녀 채팅 목록·상대 확인 가능

이슬기 메타코리아 대외정책팀 이사가 메타의 '가족센터'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 디지털데일리]
이슬기 메타코리아 대외정책팀 이사가 메타의 '가족센터'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 디지털데일리]

[디지털데일리 조윤정기자] 인스타그램이 이달부터 청소년의 소셜 미디어 활동을 제한하는 ‘청소년 계정’ 기능을 순차적으로 도입할 예정이라고 발표했다.

인스타그램은 11일 서울 강남구 한국 오피스에서 열린 미디어 브리핑에서 청소년이 안전한 온라인 환경에서 소통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청소년 계정(Teen Accounts)’ 기능을 공개했다.

청소년 계정은 만 14세 이상 18세 이하 청소년의 인스타그램 사용을 제한하는 기능이다. 청소년에게는 연령에 맞는 안전한 온라인 경험을 제공하고 부모에게는 보다 안심할 수 있는 인터넷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도입했다.

이날 오프닝 세션을 맡은 정다정 인스타그램 홍보 총괄은 "(청소년 계정은) 단순히 기능만 추가되는 것이 아니라 인스타그램이 청소년 보호를 위해 새로운 기준을 설정하는 굉장히 중요한 마일스톤"이라며 "인스타그램은 청소년들이 보다 건강한 온라인 경험을 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연구와 협력을 이어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날 간담회에선 아담 모세리 인스타그램 최고경영자(CEO)가 실시간 라이브 스트리밍을 통해 ‘청소년 계정’을 취지와 기능 전반에 대해 소개했다. 그는 "인스타그램에서 청소년을 최대한 보호하기 위해 통합적인 접근방식이 필요하며, 안전성 보호를 일관적으로 적용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했다"며 "이를 위해 청소년 계정을 만들어 아시아를 비롯한 여러 지역에서 확대하고 있다"라고 밝혔다.

인스타그램 ‘청소년 계정’ 메인 화면 [ⓒ 인스타그램]
인스타그램 ‘청소년 계정’ 메인 화면 [ⓒ 인스타그램]

청소년 계정은 ▲계정 공개 범위 ▲연락 가능 대상 ▲표시되는 콘텐츠 ▲시간 관리 측면에서 한층 강화됐다. 특히 만 17세 미만의 청소년이 안전 설정의 보호 강도를 낮추려면 부모님 또는 보호자의 허락이 필요하다. 만 17~18세 청소년은 부모님 또는 보호자가 계정을 관리 감독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이러한 설정을 직접 변경할 수 있다. 이러한 차별화된 보호 조치는 연령대별로 더욱 세분화된 앱 경험을 제공하면서도 청소년을 보호하려는 목적으로 풀이된다.

청소년 계정 도입 시 기본적으로 계정 상태가 비공개로 설정되며, 청소년에게 연락을 보낼 수 있는 사람도 제한된다. 청소년 계정은 자신이 팔로우하는 사람이나 연락을 주고받은 적 있는 사람에게만 메시지를 받을 수 있으며, 태그, 언급, 콘텐츠 리믹스 등의 기능도 청소년이 팔로우하는 계정으로 제한된다.

민감한 콘텐츠 관리도 가장 엄격한 기준이 적용된다. 청소년 계정은 검색 결과와 탐색 탭, 릴스, 피드의 추천 콘텐츠에서 민감한 내용이 포함된 콘텐츠가 덜 보이도록 자동 설정된다.

청소년의 앱 사용 시간을 관리하기 위한 기능도 제공된다. 하루 60분이상 앱을 이용하면 앱을 종료하라는 알림이 표시되며, 오후 10시부터 오전 7시까지 사용 제한 모드가 자동 설정된다. 이 시간 동안에는 알림이 꺼지고 DM에 자동 답장이 전송되며 앱을 닫으라는 알림이 표시된다. 제한 시간에 도달했을 때 앱을 차단할지는 부모가 결정할 수 있다.

정다정 홍보 총괄은 “인스타그램은 앞으로도 10대 청소년이 연령에 맞는 안전한 온라인 경험을 할 수 있도록 필요한 교육과 지원을 아낌없이 제공할 것”이라며 “부모님, 청소년 이용자들과 꾸준히 소통하고 이들의 피드백을 반영해 인스타그램을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나갈 계획”이라고 전했다.

한편 인스타그램은 청소년들의 안전과 웰빙을 위해 청소년 당사자, 부모, 전문가들과 협력해 리소스를 개발하고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대표적으로 메타는 ‘가족 센터’와 ‘안전 센터’ 웹사이트를 운영하고 있다. 이슬기 메타코리아 대외정책팀 이사는 “이 두 센터에서는 청소년의 디지털 웰빙과 관련된 전문가의 조언을 확인할 수 있으며, 다양한 관리 감독 도구를 활용할 수 있다”라고 설명했다.

디지털데일리 네이버 메인추가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