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e비즈*솔루션

“딥시크 파장, 위기 아닌 기회”...韓 AI 경쟁력 위한 최우선 과제는?

강도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2차관이 6일 오전 서울 중구 서울스퀘어 국가인공지능위원회에서 열린'국내 AI 산업 경쟁력 진단 및 점검 회의' 에서 참석자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앞줄 왼쪽부터 오승필 KT CTO, 김성훈 업스테이지 대표, 신용식 SKT 부사장, 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 대표,배경훈 LG AI연구원장, 김두현 건국대 컴퓨터공학과 교수, 조강원 모레 대표. 뒷줄 왼쪽부터 김병학 카카오 부사장, 조준희 한국소프트웨어산업협회장, 강도현 제2차관, 이경우 국가인공지능위원회 지원단장,송상훈 정보통신정책실장, 김수정 인공지능기반정책과장(직무대리), 정혜동 AI 연구개발(R&D) PM.
강도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2차관이 6일 오전 서울 중구 서울스퀘어 국가인공지능위원회에서 열린'국내 AI 산업 경쟁력 진단 및 점검 회의' 에서 참석자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앞줄 왼쪽부터 오승필 KT CTO, 김성훈 업스테이지 대표, 신용식 SKT 부사장, 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 대표,배경훈 LG AI연구원장, 김두현 건국대 컴퓨터공학과 교수, 조강원 모레 대표. 뒷줄 왼쪽부터 김병학 카카오 부사장, 조준희 한국소프트웨어산업협회장, 강도현 제2차관, 이경우 국가인공지능위원회 지원단장,송상훈 정보통신정책실장, 김수정 인공지능기반정책과장(직무대리), 정혜동 AI 연구개발(R&D) PM.

[디지털데일리 오병훈기자] “딥시크 파장을 계기로 소프트웨어 알고리즘 연구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6일 정혜동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 연구개발(R&D) PM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가 국가AI위원회 회의실(서울 중구)에서 개최한 ‘국내 AI 산업 경쟁력 진단 및 점검회의’에서 딥시크 파장이 업계에 미친 영향을 진단하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먼저, 중국 AI 기업 딥시크가 개발한 LLM ‘딥시크-알원(이하R1)’을 둘러싼 다양한 논란에 대해 설명했다. 딥시크는 R1을 개발하는데 557만달러(한화 약 80억원) 비용이 들었다고 주장했다. 다만, 이에 대해 일각에서는 클라우드 컴퓨팅 구동 비용만 책정한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오면서 개발 비용 축소 논란이 확산되기도 했다.

정 PM은 “딥시크가 오픈소스로 공개한 모델을 사용하면, 친(親) 중국 데이터를 출력하는 등 문제를 보이고 있으며, R1 서비스를 직접적으로 사용하는 것은 정보보호 측면에서 안전하지 않을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고 말했다.

논란에도 불구하고, R1은 소프트웨어 개발 시장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는 것이 그의 설명이다. 핵심은 해당 LLM이 오픈소스로 공개됐다는 점이며, 이에 따라 공개된 오픈소스 모델을 활용해 효율성 높은 AI를 개발할 수 있다는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는 것이다.

그는 “전 세계에서 많은 스타트업들이 AI 소프트웨어 알고리즘을 혁신해 성능 높은 모델을 만들어낼 수 있는 기회로 해석하고 있다”며 “다양한 오픈소스 생태계가 확장될 것으로 보이는데, 이 가운데서 한국만의 독자적인 AI가 반드시 확보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 PM은 “한국 기업들은 거대모델 뿐 아니라 작은 모델들도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충분한 저력을 가지고 있다”며 “단지 글로벌 추세를 쫓아가기만 하기보다는, 주도할 수 있는 역량을 확보하고 발휘해야 할 시점이라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그는 국내 기업들이 개발한 LLM이 글로벌 오픈소스 플랫폼 허깅페이스의 리더보드 1위에 오른 사례를 제시하며 국내 기업의 잠재적 성장 가능성을 강조했다. 국내 스타트업 업스테이지가 개발한 ‘솔라-프로-프리뷰’와 모레에서 개발한 ‘모모’ 등 LLM이 리더보드 1위에 오르는 등 성과를 낸 바 있다. 가장 최근에는 LG AI 연구원에서 개발한 ‘엑사원3.5’도 지난해 12월 리더보드 1위에 올랐다는 것이 그의 설명이다.

마지막으로 정 PM은 “정부 투자에 더해 민간의 노력이 반드시 동반돼야 한다”며 “현재 보유 중인 저력을 바탕으로 AI 글로벌 추세에 쫓아가기보다 먼저 시장을 이끌고 갈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됐으면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강도현 과기정통부 제2차관은 인사말을 통해 “30년 전 초고속정보통신망이 개통되고 인터넷 시대가 열린 바 있는데, 요즘 세상은 그 데자뷔를 보는 것 같다”며 “딥시크는 우리 산업계에 방법론적인 부분에 대한 새로운 혁신 화두 던졌다. 정부는 여러 사항 면밀히 분석해 산업계를 지원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디지털데일리 네이버 메인추가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