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뉴스

플랫폼

"제2의 오징어게임 나오나"…문체부, 6000억원 규모 K 콘텐츠 펀드 조성

문화계정 5200억원, 영화계정 796억원 규모로 확대

[ⓒ 문화체육관광부]
[ⓒ 문화체육관광부]

[디지털데일리 조윤정기자] 문화체육관광부(장관 유인촌)가 콘텐츠 투자시장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해 약 6000억원 규모의 K-콘텐츠 펀드를 조성한다고 5일 밝혔다.

문체부는 한국벤처투자와 함께 '2025년 모태펀드 1차 정시 출자'를 공고했다. 해당 펀드에서 정부 출자 규모는 약 3400억원으로, 문화계정 5200억원, 영화계정 796억원 규모로 벤처투자조합을 조성한다.

문체부는 모태펀드 문화계정을 통해 3000억원을 출자해 5200억원 규모의 자펀드 결성할 계획이다. 분야는 ▲지식재산권(IP) 펀드 ▲콘텐츠 수출 펀드 ▲신기술 콘텐츠 펀드 ▲콘텐츠 육성 펀드 ▲문화일반 펀드 총 5개로 나뉜다. 특히 올해는 '문화 일반펀드' 규모를 확대하고 ‘콘텐츠 육성펀드’를 신설한다. 이를 통해 국내 콘텐츠 기업이 성장동력을 구축해 세계시장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자금 기반을 제공한다.

비교적 투자 자율성이 높은 문화 일반펀드는 전년도 800억원에서 올해 1200억원으로 확대해 콘텐츠업계 투자 활성화를 유도한다. 새롭게 신설하는 '콘텐츠 육성펀드'는 창업초기기업, 가치평가 우수기업 등 유망 기업의 전략적 성장을 지원할 전망이다.

모태펀드 영화 계정은 메인 투자, 중·저예산 영화, 애니메이션 등 3개 분야의 펀드로 조성된다. 정부 신규 출자금은 지난해 250억원에서 350억원으로 증액되며, 애니메이션 전문 펀드를 신설해 영상 콘텐츠 제작 활성화 기반을 마련할 계획이다. 또한, 한국 영화 산업의 투자 위축을 고려해 올해는 결성 1년 내 약정 총액의 25%를 투자하도록 한 연차별 투자 의무를 폐지하는 등 투자 조건을 완화해 시장으로의 신속한 자금 유입을 유도한다.

'한국영화 메인투자 펀드'는 신규 조성됐다. 메인투자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영화의 지식재산(IP)을 제작사가 보유할 것을 의무화해 강소 영화제작사의 성장을 돕는다.

이어 기관은 '중·저예산 한국영화 펀드'를 통해 중·저예산과 저예산 한국영화 제작을 활성화할 계획이다. 올해 신설한 '애니메이션 전문 펀드'는 애니메이션 관련 중소·벤처기업 및 사업(프로젝트)에 투자하되, 극장용 애니메이션 사업(프로젝트) 의무 투자비율을 둬 애니메이션 산업의 성장을 뒷받침할 예정이다.

힌편 K-콘텐츠 펀드에 대한 제안서 접수는 오는 12일 오전 10시부터 19일 오후 2시까지 온라인으로 접수한다. 문체부는 4월에 최종 운용사를 선정하고 발표할 예정이며 이와 관련한 더욱 자세한 내용은 한국벤처투자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디지털데일리 네이버 메인추가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