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데일리 이나연기자] 중국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딥시크(DeepSeek)’가 출시한 가성비 AI 모델 ‘R1’이 전 세계에 충격을 안긴 가운데, AI 투자 규모에서 이미 해외와 격차가 벌어진 국내 산업에도 호재가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설 연휴 이후 개장 첫날인 지난달 31일 네이버 주가는 전장 대비 6.13% 오른 21만65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카카오도 7.27% 오른 3만8350원으로 장을 마감했다. 이날 양사 외에도 AI 소프트웨어·서비스 기업들의 주가가 5% 이상 치솟았다. 최근 ‘딥시크 쇼크’로 인한 AI 시장 활성화 기대감이 주가에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네이버는 2023년 8월 기존 거대언어모델(LLM)을 고도화한 ‘하이퍼클로바X’를 공개했으며, 카카오는 작년 10월 ‘카나나’라는 AI 브랜드와 산하 모델 라인업 10종을 발표한 바 있다. 다만 양사 모두 이들 모델을 활용한 AI 사업 수익성과 지속 가능성을 시장에 각인시키지 못했다.
AI에 천문학적인 금액을 쏟아붓는 글로벌 빅테크(거대 기술 기업)와 비교해 개발 및 운영비용이 현저히 적다는 점도 국내 업계의 고질적인 한계로 꼽혔다. 딥시크 R1은 미국 오픈AI가 챗GPT를 개발할 때 쓴 비용 대비 18분의1 수준으로 만들어졌다. 그런데도 수학 계산과 코딩 부문에서 챗GPT 신형 모델 ‘GPT-o1’ 성능을 웃도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장이 가장 주목하는 건 딥시크가 소스코드(설계도)를 공개하지 않는 오픈AI 등과 달리, R1 코드를 오픈소스로 공개한다는 것이다. 이로써 국내외 AI 스타트업들은 딥시크 모델과 기술을 이용해 AI 개발에 필요한 초기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딥시크로서도 자체적인 AI 생태계를 활성화할 수 있어 빅테크에 대항할 기반을 마련하는 셈이다.
하정우 네이버 클라우드 AI 이노베이션 센터장은 최근 자신의 페이스북 계정에서 “1회 학습 비용이 적다고 누적 투자 비용이 적다고 보기 어렵다”라면서도 딥시크가 AI 대중화에 미칠 영향을 전망했다.
하 센터장은 “미국의 천문학적 투자만큼은 아니어도 일정 수준 이상 AI 역량을 축적한 국가나 기업은 미국 빅테크 수준의 경쟁력 있는 AI를 만들 수 있다는 측면에서 ‘AI 보편화+대중화’ 속도는 빨라질 수 있겠다”며 “AI 대중화라면 AI 인퍼런스 칩 시장의 빠른 확대도 예상해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증권가에서도 최대 AI 수혜주로 인터넷·게임 업종을 선정했다. 최승호 상상인증권 연구원은 “딥시크의 방법론을 제대로 따라 할 수 있다면 그동안 인프라 비용 투자가 어려워 진행되지 못했던 국내외 AI 개발이 더 활발해질 수 있을 것”이라고 진단했다.
이어 “현재 네이버 ‘하이퍼클로바’, 카카오 ‘카나나’ 정도가 국내를 대표하는 모델들이지만, 냉정하게 성능에 있어 글로벌 빅테크 대비 많이 뒤처지는 상황”이라며 “모델을 만들 때 오픈소스 모델 구조를 많이 참고하므로, 오픈소스 강세는 빅테크와 벌어진 간격을 좁힐 기회가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네이버는 오는 7일, 카카오는 오는 13일에 2024년 4분기 및 연간 실적을 각각 발표한다.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가 양사 실적 컨센서스(증권사 전망치 평균)를 집계한 결과, 네이버는 지난해 연간매출 10조원을 처음 돌파할 전망이다. 카카오는 작년 4분기 실적이 주춤했으나 연 매출은 네이버와 나란히 외형 성장을 이룰 것으로 보인다.
올해 임직원 신년사를 통해 AI 서비스에 대한 의지를 피력한 네이버와 카카오 대표가 이번 실적 발표에서 ‘딥시크 쇼크’ 관련한 시장 대응 전략을 언급할지 주목된다.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시대, 5G 네트워크 과시할 기회”…美통신사, 새로운 먹거리는 [IT클로즈업]
2025-02-02 20:26:36[OTT레이더] 美 'OJ. 심슨 사건', 그날의 진실은?
2025-02-02 10:52:05[네트워크 통·장] 트럼프 2기, 광통신 투자 집중?…韓 수혜주는
2025-02-01 11:03:00[DD퇴근길] 中 '딥시크' 쇼크, 글로벌 AI 산업 미친 파장은
2025-01-31 16:51:32[DD's톡] 딥시크 열풍에 통신주도 일부 수혜…같이 주목받는 ‘엣지AI’
2025-01-31 15:51:57"유출이 맞았네?"… 6월 27일 공개 '오징어게임3', 214번 정체는?
2025-01-31 10:44:46[DD's톡] 中 딥시크 쇼크…투자비 걸림돌 네이버·카카오에 호재될까
2025-02-02 17:14:54中관영매체 "딥시크에 무차별 사이버공격…모두 미국 IP"
2025-01-31 17:52:58[DD퇴근길] 中 '딥시크' 쇼크, 글로벌 AI 산업 미친 파장은
2025-01-31 16:51:32"엔비디아 칩 유출됐나"...美 딥시크 충격에 수출제재 '빈틈' 찾는다
2025-01-31 16:42:39“너도나도 AI 기술 융합하는데…IT 강국 韓, 옛말 될 수도”
2025-01-31 15:50: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