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데일리 이나연기자] 네이버가 회사 인공지능(AI) 기반 기사 추천 서비스(에어스·AiRS)를 운영하는 과정에서 뉴스 소비 이력을 이용자 동의 없이 수집하고, 이용자 정치 성향을 분류한다는 의혹에 “사실무근”이라고 해명했다.
네이버는 지난 13일 공식 블로그를 통해 “자사는 뉴스 이용자를 그룹핑(grouping)하거나, 정치 성향을 판단할 수 없다”며 이같이 말했다.
앞서 MBC노동조합(제3노조)은 성명을 내고 네이버가 뉴스 서비스 이용자들의 기사 소비 성향에 따라 그룹별로 분류한다고 주장했다. 네이버 인공지능(AI) 추천 모델 중 ‘협업 필터(CF)’로 이용자를 특정 뉴스 소비그룹으로 분류해 ‘기사 선호 예측’이 이뤄지고 있다는 것이다.
국민의힘 미디어특별위원회도 제3노조 측 문제 제기에 힘을 실었다. 같은 날 미디어특위는 “구체적인 근거에 기반한 MBC 제3노조의 합당한 문제 제기에 네이버 해명을 요구한다”며 “이번에도 모르쇠로 일관한다면 국민을 대신해 당 차원에서 나설 수밖에 없음을 네이버에 경고한다”고 목소리 높였다.
네이버는 CF에 대해 “나와 동일한 기사를 본 다른 사용자 서비스 이용기록을 참고하는 모델로, 사용자를 특정 그룹에 매칭하거나 분류하지 않는다”며 “뉴스 이용자 정치 성향을 판단할 수 없으며, 기사 소비 성향이 정치 성향과 일치한다는 주장은 근거가 부족하다”고 설명했다.
외부 전문가로 구성된 제2차 알고리즘 검토위원회에서도 ‘뉴스 기사 추천 후보를 생성하는 단계에서 언론사 이념과 성향을 분류해 우대하거나 제외하는 요소는 찾아볼 수 없었음’이라고 공식 발표한 바 있다.
아울러 네이버는 이용자 동의 없이 서비스 이용기록을 사용했다는 주장에도 “서비스 이용기록을 동의 없이 사용하지 않으며, ‘개인정보보호 원칙’을 준수한다”고 강조했다.
네이버는 개인정보수집 과정에서 서비스 개선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내용을 개인정보처리방침에서 설명하고 있다. 최근 사회적 분위기에 발맞춰 작년 8월부터 인공지능 관련 개인정보 처리에 대한 사항을 포함하기도 했다.
네이버는 “새로운 서비스를 반영할 때 ‘개인정보보호 원칙’을 지키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며 “뉴스 알고리즘 구성의 적절성, 합리성을 투명하게 검토받고 있으며, 앞으로도 다양한 채널을 통해 알고리즘에 대한 오해를 바로잡고 이용자와 소통하겠다”라고 전했다.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연간 통신분쟁 전년 대비 22% 급증…”이용계약 관련 분쟁이 절반”
2025-02-21 17:39:30[DD퇴근길] 계속되는 '망 사용료 갈등'…MWC, 논의의 장으로
2025-02-21 17:28:22[IT클로즈업] ‘망 사용료 논쟁’ MWC서 재점화될까…“주요국 입장 예의주시해야”
2025-02-21 11:30:17[DD퇴근길] 제로트러스트 실제 적용사례·정부정책 한눈에
2025-02-20 17:15:10"KT·네카오·메가존 합류"…ICT기업 품은 한경협, DX 혁신 꿈꾼다
2025-02-20 15:34:56SM·카카오엔터 합작 英 보이그룹 '디어앨리스' 공식 데뷔
2025-02-21 17:28:39[DD퇴근길] 계속되는 '망 사용료 갈등'…MWC, 논의의 장으로
2025-02-21 17:28:2229CM, 상반기 ‘이구홈위크’ 전년비 거래액 2배 돌파…“주방용품·홈 패브릭 상품 추천 적중”
2025-02-21 16:24:36위메이드 ‘레전드오브이미르’, 구글 플레이 인기 1위 달성
2025-02-21 16:16:01데브시스터즈 ‘쿠키런: 모험의탑’, 일본 현지 CBT 시작
2025-02-21 14:55:42"D.P. 신드롬 한 번 더"…한준희 신작 '로드', 넷플릭스로?
2025-02-21 13:24: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