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데일리 김문기 기자] “퀄컴은 차량 내 향후 진화되는 AI를 어떻게 실현할지, 마이크로소프트(MS)와는 어떤 영역에서 AI를 훌륭하게 활용할 수 있는지, 메타와의 협력은 아직 끝나지 않았다.”
조주완 LG전자 CEO는 6일(현지시간) 독일 베를린에서 열린 유럽 최대 가전박람회 IFA 2024에서 기자들과 만나 글로벌 빅테크와의 협력 관계와 관련해 이같이 말했다.
조주완 CEO는 빅테크 기업들이 디바이스가 많은 업체들을 큰 포텐셜한 파트너로 보고 있으며, LG전자와 사업 논의를 하려고 한다고 말했다. LG전자가 가지고 있는 디바이스나 집 안에서의 고객 사용 데이터와 협업할 수 있는 방안 논의한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그는 "얼마 전(5월 MS 초정으로 CEO 서밋에 참가)에 마이크로소프트 CEO 서밋에 참석했고, 그 이후 한번 더 가서 일대일로 사티아 나델라 MS CEO를 만났다"며 "우리가 어떤 영역에서 AI를 훌륭하게 활용할 수 있고, 어떤 잠재력을 갖고 있는지 대화했고 앞으로도 계속 진행한다"고 밝혔다.
조 CEO는 크리스티아노 아몬 퀄컴 CEO와의 지난 7월 만남과 관련해서도 "시장에서 잘 모르지만 우리가 자동차 업계에서 퀄컴의 가장 큰 고객"이라며 "LG전자는 텔레매틱스 세계 1위이자, 퀄컴 칩을 사용하는 가장 큰 자동차 부품 회사다. 퀄컴과는 차량 내에서 앞으로 진화하는 AI를 어떻게 실현해 나갈 것인가 하는 얘기를 하려고 한다"고 덧붙였다.
또한, 조 CEO는 올해 상반기 마크 저커버그 메타 최고경영자(CEO)를 만난 바 있다. 그는 “메타와는 XR 디바이스를 하겠다고 했는데 그대로는 안될 것 같고 일이 커질 것 같아서 조심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협력 관계가 아주 끝난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이어, “특히, 온 디바이스 AI 쪽에 메타의 라마라든가 이런 쪽은 우리가 가지고 있는 언어모델인 엑사원 등과 하이브리드로 갈 수 있는 방향을 생각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LG전자는 빅테크, 완성차 업체와의 적극적인 협업을 통해 차별적인 고객 가치를 이루어 나가려 한다고 밝혔다. 이를 바탕으로 서로 윈윈하는 파트너십을 지속적으로 이어가고자 한다는 것.
한편, G전자는 전 세계 수많은 고객 접점과 방대한 양의 고품질 데이터 및 노하우를 확보하고 있음. 글로벌 빅테크 기업과의 협업을 통해 가전을 넘어 홈·커머셜·모빌리티·가상공간 등 삶의 다양한 공간에서 고객 경험을 연결하고 확장하는 ‘스마트 라이프 솔루션 기업’으로서의 전환이 더욱 빨라질 것을 기대했다.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SKT가 MWC에서 선보일 AI 기술은?…K-콘텐츠부터 금융까지
2025-02-25 23:59:40LGU+, MWC서 'PQC(양자내성암호)' 기술로 AI 보안 차별화
2025-02-25 18:22:06통신 이용자정보 조회도 ‘영장주의’...국회 여야 평행선에 논의 ‘답보’
2025-02-25 16:51:20콘텐츠가 한눈에…케이블TV VOD 플랫폼 '오초이스' 재단장
2025-02-25 13:55:29적자폭 줄인 티맵모빌리티, 우티 이어 전동킥보드도 접는다
2025-02-25 17:48:34SK스퀘어, 작년 영업익 3조9126억원 ‘사상최대’...매출은 전년比 16.2%↓
2025-02-25 17:29:51[DD퇴근길] "오픈AI 올라타자"…韓 AI 동맹전선 윤곽 언제쯤?
2025-02-25 17:28:05조국혁신당 ‘디지털권 보장’ 정책 제안…“‘개인정보 대시보드’로 이용자 보호 강화”
2025-02-25 16:49:53마크비전 “지난해 위조상품·불법 콘텐츠 5041만건 제재”
2025-02-25 15:26: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