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데일리 채성오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이종호)는 '와이파이6E' 상용화를 위해 6㎓ 대역의 고정·이동 방송중계용 무선국 주파수 재배치를 완료하는 한편 '와이파이7' 도입을 위한 제도 개선도 추진한다고 16일 밝혔다.
앞서 지난 2020년 과기정통부는 6㎓ 대역 1200㎒ 폭(5925-7125㎒)을 미국에 이어 세계에서 2번째로 비면허 용도로 공급함으로써 와이파이6E 상용화를 지원한 바 있다. 실제로 2021년 이후 국내에 출시된 주요 스마트폰은 와이파이6E를 지원하고 있다.
다만, 와이파이6E 활용을 위해 공급이 필요한 6㎓ 대역은 기존에 고정·이동 방송중계용으로 사용되고 있었음에 따라 혼·간섭 방지를 위해 이를 재배치할 필요가 있었다. 재배치를 위해 방송국에 대한 손실보상도 필요한 상황이었다.
이에 따라 과기정통부는 2020년 12월부터 방송사와 협력해 고정·이동 방송중계 주파수 재배치를 단계적으로 추진해 왔다. 과기정통부는 올 들어 3월까지 3단계에 걸쳐 총 184국의 이동 및 고정 방송중계용 무선국의 주파수를 회수·재배치했으며, 현장실사를 통해 이행여부를 확인한 후, 총 140억원의 손실보상금을 지급 완료했다고 설명했다.
과기정통부는 해당 대역에서 차세대 와이파이7 도입이 가능할 수 있도록 관련 제도개선도 추진한다.
와이파이7은 기존과 동일한 대역을 사용하나 와이파이6E 대비 채널 대역폭 2배 확대, 변조 및 스트리밍 방식 개선, MLO(단말이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동시에 사용해 데이터 처리) 도입 등으로 속도가 와이파이 6·6E 대비 최대 4.8배 향상될 수 있는 표준으로 알려져 있다. 과기정통부는 와이파이7 표준안에 부합하도록 채널당 대역폭을 기존 160㎒에서 320㎒까지 확대하는 내용의 기술기준(고시)을 올 상반기까지 개정할 계획이다.
이번 제도개선을 통해 와이파이7을 적용한 칩셋, 공유기(AP), 스마트폰 등이 상용화될 전망이다. 와이파이의 적용범위도 기존 스마트폰이나 노트북 등 한정된 영역을 벗어나 확장현실(XR), 산업용 로봇 등 다양한 영역으로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최병택 과기정통부 전파정책국장은 "와이파이는 국민들이 일상에서 데이터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필수재임은 물론, 최근에는 다양한 산업영역으로 확산돼 디지털 혁신의 기반이 되고 있다"며 "정부는 국민들과 산업계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제도개선 등을 통해 와이파이 성능향상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SKT, 이번 주말 약 90만개 유심 확보한다…“QR 유심재설정 준비 중”
2025-05-16 11:09:11“엄마아빠, 저예요” LGU+, AI로 순직소방관 목소리 복원
2025-05-16 09:25:30미디어산업 진흥 ‘마지막 기회’…“‘청와대 미디어수석’ 신설해야”
2025-05-15 17:43:18[DD퇴근길] 테무 개보법 위반, 13억대 과징금 철퇴…"협조 불충분"
2025-05-15 17:28:05펄어비스 검은사막, 10주년 기념 LP 레코드 글로벌 발매
2025-05-16 11:08:21"곽튜브와 떠나는 1보 1식 먹방여행"…여기어때, 버킷팩 출시
2025-05-16 10:39:43시프트업 '스텔라 블레이드' PC 버전 프리오더 시작…내달 12일 정식 출시
2025-05-16 09:49:55[새 정부에 바란다④] "규제 칼날 피할까"…'진흥'에 목마른 플랫폼업계
2025-05-16 07:30:00[새 정부에 바란다③] 디지털 주권 vs 통상 리스크, 한-미 협상 갈림길에선 韓
2025-05-16 06:3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