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데일리 옥송이 기자] 애국주의를 바탕으로 한 중국 스마트폰 시장이 심상치 않다. 삼성전자에 이어 애플도 고전을 면하기 위해 현지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화웨이가 중국 기술 굴기의 상징으로 떠올랐다. 지난 2019년부터 시작된 미국의 반도체 수출 통제에도 불구, 화웨이가 지난해 자체 제작한 AP를 선보이면서다.
화웨이는 지난해 8월 내놓은 메이트 60프로를 공개하자마자 세간의 집중을 받았다. 미국이 고성능 반도체 수출을 통제하면서 5G 스마트폰 생산에 차질을 빚었지만, 자체 개발한 기린9000s AP를 장착한 메이트 60프로로 프리미엄 스마트폰 시장에 복귀했기 때문이다.
제재를 뚫고 진보한 기술력을 선보인 화웨이의 서사에 중국 소비자들은 열광했다. 이른바 애국주의 소비 열풍의 중심에 서며 해당 모델은 화웨이의 실적을 주도했다.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 리서치에 따르면 올해 첫 6주간 중국 스마트폰 판매량 가운데 화웨이의 점유율은 17%를 차지했다. 9%를 차지했던 전년 대비 64% 상승했다.
메이트60프로의 매출 호조는 화웨이의 실적에도 영향을 끼친 것으로 분석된다. 화웨이의 실적 발표에 따르면 화웨이는 지난해 연간 매출 7042억 위안, 순수익 870억 위안을 기록했다. 순수익은 전년 대비 2배 이상, 매출은 10% 가까이 늘어난 것이다.
반면 글로벌 스마트폰 제조업체들은 중국에서 고전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중국 내 프리미엄폰 시장을 주도하던 애플의 판매량은 전년 대비 24% 감소했다. 최근 팀쿡 CEO가 상하이 애플스토어를 직접 찾은 데 이어 중국발전포럼에 직접 방문해 친중 행보를 벌인 배경으로 해석된다.
카운터포인트리서치 애널리스트 멍멍 장은 "애플 아이폰은 특히 하이엔드 부문에서는 화웨이와의 치열한 경쟁에 직면했다"라고 분석하기도 했다.
한편, 애플은 중국에서 판매되는 아이폰에 중국 바이두의 AI 모델 탑재를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현지 기업의 AI 모델을 사용함으로써 소비자 심리를 공략하기 위해서다.
무엇보다 규제 당국의 승인을 위한 측면이 크다. 애플에 앞서 AI폰을 선보인 삼성전자는 갤럭시 S24 시리즈를 중국에 출시하면서 역시 바이두의 AI를 사용한 바 있다. 구글의 제미나이와 오픈AI의 챗GPT 등은 중국 내에서 승인되지 않아서다.
업계 관계자는 "중국 시장은 현지화가 중요한 곳"이라며 "글로벌 제조사들도 그에 맞는 스탠스를 취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美 USTR, 해외CP에만 망사용료 요구하는 것처럼 호도”
2025-04-02 19:00:20티캐스트 이채널, 방송·디지털 아우르는 신작 라인업 공개
2025-04-02 17:48:00알뜰폰 번호이동 순증 지속, 증가폭은 활성화 정책에도 하락
2025-04-02 16:16:58[취재수첩] 무리한 공정위, 권위상실 방통위, 씁쓸한 통신3사
2025-04-02 12:15:53라인야후, 日 행정지도 마지막 보고서 제출…"지분 관계, 변화 無"
2025-04-02 18:41:33틱톡, 운명의 날 임박…"美사업권 인수, 2일 최종 처리방안 논의"
2025-04-02 17:22:47넷마블몬스터, ‘레이븐2·마퓨파’ 쌍끌이로 7년만 흑전… ‘몬길’로 분위기 잇는다
2025-04-02 17:08:20[EnTech] "하루 2만명씩 썼는데"…호황기 누렸던 노래방 앱, 현 주소는
2025-04-02 17:07:47MZ세대서 힙해진 독서열풍에…전자책 플랫폼, AI 기술로 '승부수'
2025-04-02 16:14:50나영석 PD 소속 '에그이즈커밍', 산불피해 복구 위해 1억원 기부
2025-04-02 15:22: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