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데일리 강소현기자] 지난 한해 SK텔레콤과 KT, LG유플러스 등 이동통신3사의 휴대전화 회선수가 78만여개 줄었다. 알뜰폰(MVNO) 등으로의 이동이 계속된 데 따른 효과로 풀이된다.
13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발표한 ‘무선 통신서비스 통계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기준 이통3사의 휴대전화 회선수는 4744만2178개다. 이는 전년(4822만2955개)보다 78만5317개 줄어든 수치다.
각사별로 살펴보면, SK텔레콤의 휴대전화 회선수는 2298만1548개로 전년보다 30만661개 줄었다. 같은기간 KT와 LG유플러스의 휴대전화 회선 수는 1351만6756개, 1094만3874개였다. 전년보다 22만9959개, 25만4697개 감소한 수치다.
반면 알뜰폰의 회선수는 늘었다. 지난해 알뜰폰 회선수는 727만2400개에서 144만9148개 늘어난 872만1548개로 집계됐다. 알뜰폰 업체가 앞서 ‘0원 요금제’ 등 저렴한 요금제를 출시한 것이 주효했던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해 알뜰폰 업체들은 이통3사로부터 받은 보조금을 활용해 앞다퉈 ‘0원 요금제’를 선보인 바 있다.
아울러 지난해 9월 처음으로 사물인터넷통신(IoT) 회선을 포함한 무선 가입 회선 통계에서 KT를 추월한 LG유플러스는 그 격차를 벌렸다. 지난해 12월 LG유플러스의 무선통신 회선수는 1849만4489개로, KT(1714만8300개)보다 134만6189개 많았다. 같은해 11월 두 기업의 무선 가입 회선 격차는 131만3620개였다.
하지만 IoT 회선을 제외하고 고객 가입자를 대상으로 한 무선 가입 회선을 비교하면 여전히 KT가 LG유플러스에 비해 더 많은 가입자를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12월 고객용 휴대폰 회선 수 기준 KT는 1351만6647개를 기록해, LG유플러스(1094만3839대)보다 257만2808개 많은 회선을 확보했다.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DD퇴근길] 5대 AI에게 물었다…"尹 탄핵심판 결과, 어떨 것 같니?"
2025-04-03 17:13:51[인터뷰] 이해민 의원, "美 통상마찰 없이 '망 무임승차' 해결하려면"
2025-04-03 15:59:44KT알파 쇼핑, 국내 로봇청소기 시장 점유율 1위 ‘로보락’ 최신상 판매
2025-04-03 13:35:10[현장] ‘탈TV·탈모바일’ CJ온스타일, 성수서 독보적 행보…“발견형 쇼핑의 정점”
2025-04-03 12:00:00[DD퇴근길] 5대 AI에게 물었다…"尹 탄핵심판 결과, 어떨 것 같니?"
2025-04-03 17:13:51응급실 온 전통킥보드 사고 환자, 4명 중 3명은 헬멧 안 썼다
2025-04-03 17:13:33넥써쓰, 통합 앱 ‘크로쓰x’ 출시… 크로쓰 생태계 본격 가동
2025-04-03 17:05:28넷마블 ‘RF 온라인 넥스트’, 장기 흥행 청신호… MMO 서비스 노하우 빛났다
2025-04-03 16:35:54[빅테크 24시] 美, 틱톡 인수 아닌 '알고리즘 임대' 검토…결정 연기되나?
2025-04-03 16:12:11"가족 여행은 5월, 국내로 떠난다"…여기어때, 이용자 선택은?
2025-04-03 16:07: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