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데일리 권하영 기자] 정보기술(IT) 산업 전반에서 빠르게 확산되고 있는 생성형 인공지능(AI)이 새로운 보안 위협으로도 지목되고 있다. 기업들은 이에 대응해 AI 기반 방어기술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는 제언이 나온다.
삼성SDS는 지난해 국내외에서 발생한 사이버 보안 이슈를 분석해 올해 주목해야 할 5대 사이버 보안 위협을 선정했다고 23일 밝혔다.
‘2024년 5대 사이버 보안 위협’은 ▲AI를 악용한 보안 위협 ▲하이브리드 환경에서의 클라우드 보안 위협 ▲개인정보·민감정보 등 주요 데이터 유출 ▲지속적으로 진화하는 랜섬웨어 ▲공격 대상 확장에 따른 네트워크 보안 위협 등이다.
이번 조사에는 IT·제조·금융·운송·회계 등 국내 대기업과 공공부문 보안 전문가 700여 명의 설문 결과를 반영했으며, 삼성SDS의 글로벌 보안 운영경험과 기술역량을 기반으로 한 대응 방안도 제시했다.
◆ AI를 악용한 보안 위협
먼저 생성형AI를 활용한 사이버보안 위협이 등장하고 있다. 해커는 ‘웜GPT(생성형AI 기반 사이버범죄 도구)’, ‘사기GPT(AI 기반 피싱도구)’ 등 생성형AI를 악용해 손쉽게, 대량으로 악성코드를 제작해 사이버 공격을 시도하고 있다.
기업에서는 이러한 공격에 대응하기 위해 AI를 적용한 악성코드 분석, 위협 자동식별 등 방어기술을 확보해야 한다.
◆ 하이브리드 환경에서의 클라우드 보안 위협
기업 맞춤형 하이브리드 환경의 경우 보안 구성과 관리 영역이 복잡해 보안 취약점 발생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기업은 클라우드 네이티브 환경 전반을 보호하는 클라우드통합보안플랫폼(CNAPP)을 도입해 클라우드 위협을 사전에 탐지하고, 하이브리드 환경 전체의 가시성을 확보해야 한다.
특히 주요 컴플라이언스 규정을 점검하면서 잘못된 환경 설정을 신속하게 식별해 보안 취약점에 대응할 필요가 있다.
◆ 개인정보·민감정보 등 주요 데이터 유출
데이터 유출 경로와 공격 방법이 다양해지고, 유출된 데이터가 다크 웹에서 거래되면서 2차 피해까지 유발하고 있다. 기업에서는 비즈니스 프로세스와 임직원 컴플라이언스 규정을 수립하고 데이터 손실 방지·저작권 등을 체계적으로 관리해, 데이터 유출을 사전에 예방하고 규제 대응에 힘써야 한다.
◆ 지속적으로 진화하는 랜섬웨어
랜섬웨어(RaaS)를 상품화해 사이버범죄에 활용하는 사례가 늘어나면서, 초기 침투 브로커(IAB)를 활용한 공격이 증가하고 있다.
기업은 데이터와 자산 보호를 위해 보안 취약점을 제거하고 엔드 포인트 보안을 강화하는 등 랜섬웨어 공격 발생 시 비즈니스 중단에 따른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보안 탄력성(Security Resilience)을 확보해야 한다.
◆ 공격대상 확장에 따른 네트워크 보안 위협
기업의 디지털전환 가속화로 인해, 클라우드·모바일 등으로 업무환경이 확장되면서 해커의 공격대상도 증가하고 있다.
네트워크 보안 위협 대응을 위해서는 제로 트러스트(Zero Trust) 보안을 적용해 반드시 사용자 인증을 거친 후 시스템과 데이터에 접근 가능한 권한을 부여해야 한다. 또한 공격대상을 선제적으로 축소하기 위해, 사이버 공격을 자동으로 탐지·분석·차단하는 기술인 TI(Threat Intelligence) 활용도 높아지고 있다.
한편, 생성형AI의 활용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음에도, 일부 기업들은 민감정보 유출을 우려해 여전히 활용 확대를 주저하고 있다.
삼성SDS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프라이빗 환경에서 다양한 생성형AI 활용이 가능한 ‘패브릭스(FabriX)’를 선보였으며, 민감정보를 탐지·차단하는 AI필터링 기능도 제공한다.
삼성SDS 변상경 보안기술실장(상무)은 “생성형AI와 클라우드 등 복잡한 업무 환경에 따른 보안 위협은 반드시 전사적 위기관리 관점에서 대응해야 한다”며 “보안 강화를 위한 제로 트러스트 기반 솔루션과 서비스 도입은 기업경영의 필수요소”라고 강조했다.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해외서도 응급의료 상담 가능”…LGU+, 소방청과 '안전·연결' 캠페인 진행
2025-05-11 12:00:00[OTT레이더] 강하늘X고민시의 쓰리스타 로맨스, 넷플릭스 '당신의 맛'
2025-05-11 11:54:28SKT 유심 교체 고객 143만명…6월 말까지 1077만장 유심 확보
2025-05-11 11:54:16SKT, '유심 교체' 대신 '유심 재설정' 도입…"티머니·금융인증서 교체 필요 X"
2025-05-11 10:00:08[현장]“어르신, 온라인 예약 하셨어요?”...SKT 유심교체 방문해보니
2025-05-10 07:07:00[DD퇴근길] 김영섭號 KT, 통신 다음은 AI…"MS 협력 성과 가시화"
2025-05-09 17:25:15[인터뷰] 의사 가운 벗고 AI 입다…실리콘밸리 홀린 ‘피클’
2025-05-11 11:55:43[IT클로즈업] 오프라인은 힘든데…네카오 커머스 1분기 호실적 비결은
2025-05-11 11:37:17국내 플랫폼 다 죽는다…"공정거래법 개정안, 경쟁력 약화할 것"
2025-05-09 19:09:38[DD퇴근길] 김영섭號 KT, 통신 다음은 AI…"MS 협력 성과 가시화"
2025-05-09 17:25:15[현장] "한계란 없는 날"…배민 팝업, 기억에 남을 한입은?
2025-05-09 16:17: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