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데일리 권하영 기자] “앞으로 디지털트윈 기술은 레거시 산업뿐만 아니라 초거대 인공지능(AI) 기술과의 접목을 피할 수 없을 것이며 내년은 그 원년이 될 것.”
서승우 서울대 교수는 15일 서울 중구 LW컨벤션센터에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최로 열린 ‘디지털트윈 커넥트데이’에서 특별강연자로 나서 이같이 말했다.
디지털트윈이란 실제 사물의 물리적 특징을 동일하게 반영한 ‘쌍둥이(Twin)’를 3D 모델로 구현해, 실시간으로 동기화한 데이터 및 시뮬레이션을 기반으로 관제·분석·예측·최적화를 구현하는 융합기술을 말한다.
예를 들어 특정 도시에 스마트시티를 구축한다고 할 때, 디지털트윈 기술을 이용하면 해당 도시를 가상공간에 구현해 실시간 정보 수집으로 시뮬레이션을 진행하고 이를 토대로 스마트시티를 최적으로 구축할 수 있는 방법을 피드백받을 수 있다.
서승우 교수는 이러한 디지털트윈 기술이 최근 폭발적인 관심을 얻은 챗GPT와 같은 생성형 AI를 포함한 초거대 AI 기술과 앞으로 밀접하게 접목될 것으로 봤다.
서 교수는 “AI 기술은 디지털트윈을 구성하는 요소로 꽤 친숙하고 깊숙하게 이미 사용되기 시작했다”며 “최적화된 3차원 공간을 복원하는 공간정보 모델링이나 3차원 공간에 있는 형상정보를 모델링하는 데 AI 기술이 활용되는 사례가 많다”고 밝혔다.
특히 초거대 AI 생태계는 클라우드, 데이터, 초거대 AI 개발, 응용, 교육 등 많은 분야를 망라하면서 2032년 1690조원 시장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는 상황이다. 동시에 전 산업 확산에 따른 기존 레거시 산업과의 갈등 조율이 요구되기도 한다.
이 가운데 디지털트윈을 챗GPT와 같은 거대 AI 모델과 결합하면 여러 현실세계 문제 해결책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라는 게 서 교수의 생각이다. 현실세계를 똑같이 모방하는 것을 넘어 현실에서 얻기 어려운 다양한 시나리오를 확보하고 시각화하는 디지털트윈이, 수많은 시나리오에 대한 분석을 통해 문제 해결을 하는 AI와 만난다면 큰 시너지를 낼 수 있다는 지적이다.
서 교수는 “디지털트윈 역시 AI와 유사한 형태의 밑거름을 필요로 하면서 유사성이 많은 기술 분야”라며 “디지털트윈은 레거시 산업에 적용하는 전통적 접근부터 초거대AI 기술과의 접목을 피할 수 없다는 게 큰 트렌드이고, 정부도 이 두가지를 어떻게 결합해 디지털트윈의 미래를 열어갈지 많은 고민 중”이라고 전했다.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KT알파, 올 1분기 호실적…T커머스·모바일상품권 성장으로 수익성 개선
2025-05-14 16:11:11구현모 “응용AI 만이 살 길”…우수사례로 ‘LG AI 연구원’ 언급
2025-05-14 15:39:20갤S25 엣지 공시지원금, 최대 25만원…KT가 제일 많아
2025-05-14 15:33:20민주당 방송·콘텐츠특별위, 지역·중소방송 정책과제 논의한다
2025-05-14 15:12:20SKT, 취약계층 방문 서비스 다음주부터 시작…"유통망 소통체계 강화"
2025-05-14 11:11:42KT, AI로 보안서비스 강화 “디도스 막고, 피싱메일 탐지”
2025-05-14 10:11:08[버추얼이 간다②] 버추얼이 인간 앞선다..."K-팝·인방계도 접수 완료"
2025-05-14 16:32:39민주당 게임특위, 게임사 노조와 간담회 개최…“노동환경 개선 과제 논의”
2025-05-14 15:31:53위메이드 박관호 "차기 정부선 블록체인 육성정책 기대" (컨콜 종합)
2025-05-14 15:12:52월 방문 1000만 사이트도 항복…카카오엔터, 자체 기술로 불법웹툰 막는다
2025-05-14 13:49:12VFS–소니 픽소몬도, 가상 프로덕션 전문가 양성 맞손
2025-05-14 11:04: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