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데일리 서정윤 기자] 마이크로소프트가 지난해 출시한 깃허브 코파일럿으로 사용자당 20달러(약 2만7000원)의 손해를 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9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 등 외신에 따르면 마이크로소프트는 깃허브 코파일럿에서 150만명의 사용자를 확보했으나 월 평균 20달러씩 손실을 기록했다.
깃허브 코파일럿은 개발자에게 코드를 생성해주고 빠르게 수정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서비스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오픈AI의 코드 생성모델인 코덱스를 활용해 깃허브 코파일럿을 서비스하고 있다. 요금은 사용자당 월 10달러(약 1만3000원)다.
마이크로소프트는 매달 1500만달러(약 202억원)를 벌어들였으나, 생성형 인공지능(AI) 이용자가 늘어나며 사용량에 따른 운영비용이 훨씬 크게 발생했다. 사용량만큼 운영비용도 증가하는 적자 구조다. 특정 사례에서는 사용자의 쿼리에 더 막대한 연산비용을 투입해야 하며 한 사용자당 최대 80달러(약 10만7000원)의 손해를 입기도 했다.
업계에서는 만약 마이크로소프트가 깃허브 코파일럿의 적자구조를 해결하지 못할 경우, 당분간 실적 악화를 피할 수 없다고 보고 있다. 이는 곧 요금 인상을 유도할 수도 있다.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로 업무속도↑"…SKT, '에이닷 비즈' CBT 돌입
2025-02-03 10:47:24“AI시대, 5G 네트워크 과시할 기회”…美통신사, 새로운 먹거리는 [IT클로즈업]
2025-02-02 20:26:36[OTT레이더] 美 'OJ. 심슨 사건', 그날의 진실은?
2025-02-02 10:52:05[네트워크 통·장] 트럼프 2기, 광통신 투자 집중?…韓 수혜주는
2025-02-01 11:03:00[DD퇴근길] 中 '딥시크' 쇼크, 글로벌 AI 산업 미친 파장은
2025-01-31 16:51:32"스파이 활동에서 보호할 것"...美텍사스, 中 AI 딥시크 금지 명령
2025-02-03 10:55:25[DD's톡] 中 딥시크 쇼크…투자비 걸림돌 네이버·카카오에 호재될까
2025-02-02 17:14:54中관영매체 "딥시크에 무차별 사이버공격…모두 미국 IP"
2025-01-31 17:52:58[DD퇴근길] 中 '딥시크' 쇼크, 글로벌 AI 산업 미친 파장은
2025-01-31 16:51:32